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식물은 줄기에서 광합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감나무 등) 순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을 보면 식물이 건조화되는 기후에 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생물체의 진화과정을 살펴보면 공룡시대에 포유류가 나타났듯이 나자식물 전성기에 피자식물이 이미 나타났다. 이처럼 생물체가 연속적인 이상 이미 현대에도 미래식물의 싹이 보여지고 있다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분말화했다. 이 분말이 바로 진단시약인데 0.3㎍만 있으면 바이러스감염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이제 남은 일은 난의 잎 1, 2g을 잘라내 즙액을 추출한 뒤 여기에 분말을 뿌리고 12시간 정도 기다리는 일 뿐이다. 바이러스가 있으면 즙액 주위에 흰띠가 형성되고, 없으면 흰띠는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 별의 모양은 납작한 타원형을 이루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견우의 서양 이름인
알
타이르(Altair, al-TARE)는 '나는 독수리'를 의미한다. 고대 페르시아 시대에 이 별과 직녀별은 모두 독수리 별로 불려졌었다. 이달의 집중 탐구페르세우스 유성우(Perseid Shower)8월은 '별똥별'의 달이다. 우리는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기존의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의 약점을 보완한 신형 콘택트렌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현대인들의 눈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 고3학생의 3분의 2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끼 ... 렌즈가 각막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그리고 눈물성분에 어떤 화학적 변화를 초래했는가를
알
수 있다 ... ...
3. 오토페이지를 이용한 문서편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포함되어 있다.예제의 소제목 부분은 본문의 내용과는 확실히 틀린 성격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토페이지에서는 이러한 특성들만 한데 묶어놓은 것을 '단락꼴'이라고 한다.단락마다 단락꼴을 지정해 주면 그 특성을 갖는 단락으로 화면에 표시된다. (사진 7)은 단락꼴에 들어가 있는 글자의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가득 찬 듯한 화려함으로 나타난다. 우리의 은하계엔 1백25개 이상의 구형 별 무리들이
알
려져 있으며 우주의 중심부를 둘러싼 둥근 '광륜'방향으로 움직인다.우리가 관찰하는 구형별 무리들은 동일한 제1세대 별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 인간이 등장하기 오래 전에 사라졌음직한 젊은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리는 외부은하들의 3차원적 분포를 볼 수 있는 것이다(그림 1).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수억광년에 이르는 은하들의 거대구조가 우주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누가 그 큰 구조물을 만들었을까? 이것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겐 커다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타원은하는 은하생성 초기에 빠른 속도로 별이 형성되어 성간물질이 거의 없다고
알
려졌다. X-선 관측으로 찾아진 고온 가스의 존재는 그 동안의 통상적 관점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 고온 가스는 온도가 1천만℃ 정도로 태양표면 온도 6천℃나 오리온 대성운의 이온화된 영역의 1만℃에 비하면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하자. 그럼 지구의 공전 주기에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생각해 보자. 식 (13)에서
알
수 있듯이 지구의 질량은 4배 정도 늘어나서는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1억+1≒1억+4≒1억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지구의 공전 주기는 변하지 않는다.식 (12)에서 질량의 단위를 ${M}_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답답함을 느낄 것이다.또 그래픽환경에는 필수적인 마우스란 장비가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얀 생쥐처럼 생긴 조그만 장비로, 키보드의 화살표 키로는 커서를 상하좌우밖에 움직일 수 없는 것에 비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면 어느 방향으로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윈도우즈 같은 ... ...
이전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