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염"(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바이러스와는 그만 싸우고, 나와 지구를 정복하자!박쥐 : 에볼라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감염자가 2만 명이 넘고, 이 중 사망자도 만 명이 넘어요. WHO는 2015년 12월 29일에 에볼라 종식 선언을 했지만, 90일 간의 집중 감시 기간이 주어져 아직까지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에요. 카르틱 찬드란 ... ...
- [News & Issue] WHO, 8大 감염병 지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에볼라 사태에서 교훈을 얻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 위험성을 가진 감염병 여덟 개를 선정해 2015년 ... 질병 중 상당수가 적절한 관심이나 재정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여덟 개 감염병의 현재 연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다음 목표”라고 밝혔다 ... ...
- [News & Issue] 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감염된 둥지를 제거해 기생파리의 번식을 막을 것을 제안했다. 클레이튼 교수는 “감염된 둥지의 40%를 없애면 핀치새의 멸종 시기를 60년 가량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응용생태학’ 2015년 12월 18일자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개발한 백신을 2회 접종하고 4마리에는 천연두바이러스를 투입한 뒤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3주 뒤 백신을 맞은 낙타는 비점막과 혈액 내에서 충분한 양의 항체가 생성된 반면, 그렇지 않은 낙타는 콧물에서 메르스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바이러스 전염과 전파의 고리를 ...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병에 걸린 사람, R은 병에 대한 면역이 있는 사람을뜻합니다.연구 결과 뎅기열바이러스는 감염률이 최고조에 이르기 6~8주 전에 확산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을알아냈습니다. 보아투 교수는 “이 모형은 뎅기열뿐 아니라 다른 전염병이 확산되는 양상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며 “수많은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박멸하는 과정을 표현했다. 흰 옷을 입은 군인(뉴트로필 백혈구)이 실크 그물을 펼쳐 적(감염성 박테리아)을 공격하고, 나아가서는 자기 세포까지 공격하는(자가면역질환) 모습은 한 편의 뮤지컬처럼 느껴지기도 했다.Merritt Moore데사이 연구원은 작품에 등장하는 모든 의상과 소품을 모두 직접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분비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미국 국립알러지감염성질환연구소 야스민 벨카이드 박사팀이 2015년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원성 외부물질이 피부 표면에 닿자 표피포도상구균이 세포독성 T 세포(TC 세포)를 유도해 선천성 면역 보호 작용을 ... ...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 책은 ‘본격 과학 학술 만화’다. 작가는 심해 생태계의 존재와 박쥐의 초음파, 세균 감염의 위험성 등 다양한 생물학 지식들이 밝혀지기까지의 방대한 과학사를 그렸다.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게 작가 본인이 주제를 정하고 방대한 책과 논문을 탐독해 얻은 결과라는 점이다. 책을 읽다 보면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두 가지 가설이 있다. 첫 번째는 겨울에 임신 중기를 거치는 동안 산모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임신 중기(4~7개월)는 태아의 뇌와 각종 장기가 발달하는 중요한 시기다. 이 시기가 마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활개 치는 시기와 맞아떨어지면서 태아의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준다는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신경세포에 감염되면서 빛감지채널을 신경세포 DNA에 삽입시켰고, 유전자가 발현되자 감염된 신경세포들이 빛에 반응할 수 있게 됐다.마찬가지의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우선 뇌에 들어와도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바이러스를 찾고 안전성을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