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염"(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분야의 전문가가 협력해야 한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은 특정 공식으로 설명할 수 없고, 감염자 수와 같은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이번 메르스 확산도 마찬가지다.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는 수학동아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질병관리본부에 보건통계를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정은옥 단국대 수학과 교수는 “확산될 것이냐, 진정될 것이냐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감염자가 단위시간 동안 만나는 사람의 수(contact number)”라며 “격리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면 메르스 역시 자연스럽게 잦아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확진 환자의 노출기간이 메르스 최대 잠복기인 1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것도 탄저균의 무서운 점이다. 보통은 오염된 동물의 배설물, 사체 또는 흙에 닿았을 때 감염되지만 때로는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서도 체내에 침투할 수 있다. 탄저균이 체내에 들어오면 초기에는 약한 감기 증상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급격히 악화돼 호흡곤란이나 쇼크가 온다. 증상이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중심으로 크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비위생적인 병원 환경으로 인한 감염을 차단하고,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신종 병원체에 대해서 충분히 조사, 연구하고 적절한 예방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하면 메르스 바이러스와 같은 ... ...
- 에볼라 No! ‘필로바이러스 관련 출혈열2’라고 불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강 인근 마을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처럼 새롭게 발견되는 인간감염질병에 앞으로는 환자나 지역, 동물 이름을 붙이지 않도록 하는 권고안을 5월 8일 발표했다. 질병의 이름 때문에 특정 환자나 지역 주민들이 불쾌감을 느끼고, 특정 동물이 해로운 것처럼 인식되는 것을 막기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게 아니냐 는 것이다. 연구결과 정말로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마 치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나면 항체가 생겨 이 후에 그 바이러스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것처럼, 비슷한 적응면역이 박테리아에서도 존재한 것이다.다니스코 연구팀은 이어진 연구에서 정체를 알 수 없던 크리스퍼가 적응면역에 ...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감염에 노출됐습니다. 이 재해에서 비롯된 가장 큰 불행이 폐결핵입니다. 북한의 폐결핵 감염률이 대폭 증가하면서 불충분한 치료로 인해 일반적인 항생제가 듣지 않는 다제내성 폐결핵이 급증했습니다. 오늘날 공공 보건의 무덤이라 할 이 사태가 남한이나 중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더 정교하게 다듬어 ‘SIR 모델’을 만들었다. 대중을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Suspectible), 감염된 사람(Infectious), 회복된 사람(Removed)으로 나눠 초기 조건에 따라 홍역이 얼마나 퍼질지 예측하는 모델이었다. 오늘날에는 여기에 잠복기(Exposed)를 더한 ‘SEIR 모델’을 많이 쓰고 있다.소프트웨어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결과 TNF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정상 쥐가 쓴맛에 훨씬 더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면 감염을 막기 위해 TNF가 많이 만들어지고, 음식의 쓴 맛에 민감해져 입맛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단맛과 짠맛, 감칠맛을 느끼는 데는 큰 차이가 없었다 ... ...
- [과학뉴스] 고구마, 세균이 만든 천연 GMO?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세균에서 온 유전자 덕분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아그로박테리움은 식물을 감염시켜 근두암(뿌리혹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다. 벨기에 겐트대 분자생명공학과 티나 킨트 교수팀은 고구마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아그로박테리움에서 전달된 외래 유전자 T-DNA가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