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규칙적으로 생성된 ‘단결정’ 나노입자가 있는 반면, 결정축의 방향이 각기 다른 ‘다결정’ 나노입자도 있었다. 나노입자의 크기도 2~3nm 차이가 났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ax3233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있다. 바로 ‘17.817’이다. 17.817은 기타의 지판에 박힌 음의 경계선인 프렛의 간격을 결정하는 숫자로 정확한 음을 연주할 수 있는 비결이다. 만약 프렛이 없다면 음계를 찾기 무척 어려웠을 것이고 매번 일정한 연주를 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프렛은 머리 쪽에 있을수록 간격이 넓고 몸통 쪽에 ...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피험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변화가 있었던 모서리위이랑이 주관적인 시간 인식을 결정한다는 생리학적인 증거를 제공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저널’ 9월 14일자에 실렸다. doi: 10.1523/JNEUROSCI.0078-20.202 ... ...
- [한페이지 뉴스] 습도 조절해 기계적 에너지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제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첸 시 뉴욕시립대 고등과학연구센터 교수는 “물이 증발할 때 결정의 망구조에 큰 변형이 일어난다”며 “이를 활용해 물의 증발 현상으로도 구동할 수 있는 (인공 근육, 나노 기계 등의) 새로운 액추에이터(작동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강한 반박도 나온다. 남녀의 뇌에 차이가 있다 한들 그 특성이 성별에 따라 선천적으로 결정되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이들이 지금까지의 남녀 뇌 차이에 대한 연구를 어떻게 반박하고 있는지, 아리 버코위츠 미국 오클라호마대 생물학과 교수의 글을 통해 알아보자. 100년 연구한 남녀 뇌, 중요한 ... ...
- 사과, 배, 감... 저마다 색으로 물드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다”고 말했다. 외피가 남다른 파란 분꽃 열매한편 외피의 독특한 구조로 색이 결정되는 열매도 있다.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인 상록수 관목 비부르눔 티누스(Viburnum tinus)의 열매가 그 주인공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월계분꽃나무라고 부르는 비부르눔 티누스에는 작고 동그란 푸른색 열매가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로 인한 피해에 처음 주목하게 된 계기는 1859년 9월 1일에 발생한 ‘캐링턴 사건’이 결정적이었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한 천체관측가 리처드 캐링턴이 태양에서 발생한 기이한 현상과, 같은 시간에 지구 자기장에 나타난 이상한 변화를 보고한 것이죠. 게다가 이때 영국과 ... ...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만들지만, 예상과 달리 각각 인기 있는 항목들을 조합해도 잘 어울리지 않을 수 있어 결정은 사람이 하죠.유전 알고리듬은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존 홀랜드가 생물이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며 진화하는 과정을 모방해 만든 최적화 알고리듬으로, 먼저 문제의 답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을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할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AI 모델 정보 중 일부라도 노출되면 공격자가 AI 전체 결정 과정에 쉽게 개입할 수 있다. 특히 딥러닝의 인공신경망은 육안으로는 구분할 수 없는 미세한 차이만으로 전혀 다른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즉, 악의를 가진 누군가가 AI에 의도적으로 접근해 입력값을 조작하고,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다양한 구조의 DNA가 존재한다. 1979년 알렉산더 리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X선 결정학을 이용해 고해상도의 DNA 나선 구조를 규명하며, 왓슨과 크릭이 제안한 B-DNA와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꼬인 이중나선 구조를 밝혔다. doi: 10.1038/282680a0 리치 교수가 발견한 DNA는 골격 바깥쪽에 위치하는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