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합"(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빛을 내는 버섯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루시퍼레이스’가 상호작용해 일어나는 반응이었지요. 루시페린은 산소와 결합해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되는데, 이 과정을 루시퍼레이스라는 효소가 도와 줘요. 이때 만들어진 옥시루시페린이 초록색의 빛을 내지요.연구팀은 “버섯의 루시퍼레이스는 다른 생물과 달리 종류에 상관없이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양 산성화로 인해 물속의 탄산염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이에요.탄산염은 칼슘과 결합해 탄산칼슘을 만드는 역할을 해요. 탄산칼슘은 소라게의 집이 되는 고둥껍데기뿐만 아니라 조개, 굴 등 해양생물들의 골격을 이루는 성분이에요. 즉, 해양 산성화가 심해지면 여러 해양생물들이 제대로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과정이 일어난다.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이 피어리어드 mRNA에 결합해, RNA 염기서열에 따라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피어리어드 단백질’이 합성되는 것이다. 생성된 피어리어드 단백질은 세포질 내에 쌓인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또 다른 생체시계 유전자에 의해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흑연은 왜 그렇지 않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그래핀과 그래핀 사이에는 단단한 화학결합이 없기 때문이다. 방탄의 핵심은 에너지 분산현재 사용되는 AR-15나 K-2 소총의 총알은 초속 1000m로 날아간다. 이는 공기 중에서 음파가 전달되는 속도의 3배에 가까운 초음속이다. 무게가 5g 정도인 총알의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공급하는 동시에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낸다. 이를 위해 수분과 결합할 수 있는 친수성 성분과 각질층에 기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소수성 성분을 함께 넣는다. 또 이 두 성분이 잘 섞이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구조적으로 친수성과 소수성의 양쪽 성질을 모두 가진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사체학(Metabolomics)이라는 분야를 알게 됐다. 이를 통해 대사체학과 영상의학을 결합하면 좋겠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그는 “교과서로만 지식을 배우거나 전공을 정해서 과목을 들었다면, 이런 진로를 고려할 기회를 갖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쉽게도 국내에는 이를 연구하는 곳이 ... ...
- [Photo] 바보의 金, 황철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불리기도 하니, 어쩌면 당연한 반응이다. 겉모습은 금과 비슷하지만, 황철석은 철과 황이 결합한 광물로 금보다는 흔하다. 조흔색으로 손쉽게 금과의 차이를 알 수 있는데, 금이 노란색인 반면 황철석은 검은색이다. 또 비중은 금의 4분의 1 정도이며, 단단하기는 금보다 월등하다. 금의 상대 굳기가 2.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변했다.유해물질, 미세 플라스틱에 달라붙다!플라스틱은 석유에서 얻은 여러 분자들을 결합해서 만든 화합물질이에요. 그래서 기름 성분과 친하지요. 미세 플라스틱이 바다 속에 들어가면 그 안에 녹아 있던 독성 물질이 쉽게 달라붙어요. 그럼 미세 플라스틱주변을 독성 물질들이 둘러싸면서 점점 ...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를 이용해 외부에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연결 모듈을 끊거나, 새로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LED자극에 따라 모듈을 끊거나 이으면서, 하나로 합치거나 두 개로 분리하는 등 스스로 고장 난 부위를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국내에서도 류미라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팀이 펩티드가 칼슘맛 수용체와 결합해 코쿠미맛을 낸다는 연구 결과를 2015년 발표한 바 있다(doi:10.1016/j.bbrc.2014.11.114). 연구팀은 펩티드가 칼슘맛 수용체에 붙어 쓴맛의 인지 과정을 방해하면서 훨씬 깊은 맛을 느끼게 만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