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만든 ‘리히터 규모’에 따르면, 지진파 에너지 E의 크기는 1011.8×101.5×M과 같습니다. 여기서 M이 지진의 규모입니다.이 공식을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전자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는 미세한 나노입자를 표면에 정교하게 집적하는 연구를 한다. 같은 나노 소재라도 어떤 형태로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종종 그럴 때가 있다. 타인을 향한 말과 몸짓이 되려 자신을 감싸고 위무하는. 전 인류에겐 ‘골든 레코드’가 어쩌면 그런 존재가 아닐까.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에는 골든 레코드라고 불리는 지름 약 30cm의 금빛 LP레코드 판이 붙어 있다. 외계문명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지구를 대표할 음악 2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다양하게 실험하면 구조물을 어떻게 만들어야 튼튼한지 체험할 수 있다. 삼각형을 기본 단위로 구조물을 만들어야 튼튼하다는 이론이 실제로도 옳은지 직접 볼 수 있는 것이다.국무총리상 수상의 기쁨도다양한 SW동아리도 내세울 만하다. 안산해양중학교에는 앞서 소개한 로봇봉사동아리 외에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8의 진동은 한반도 전체를 흔들었다. 경주와 부산에서는 진도6, 즉 집이 흔들리고 집안 가구가 움직이는 진동이 느껴졌다. 서울에서도 ... ...
- 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어낼 수 있겠죠?[*압전장치 : 압력을 받으면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와트 : 전력의 단위. 형광등을 켜기 위해선 5~30W의 전력이 필요하다.]하지만 아직은 페이브젠에서 만든 블록의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문제예요. 1㎡ 넓이의 땅에 페이브젠을 깔기 위해 200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들거든요.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관점이다.개인주의는 개인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위라고 생각한다. 개인주의 사회에서 모든 사람은 그 자체로 고유하고 특별한 존재이며, 집단의 목표와 개인의 욕구가 상충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선택을 내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업, 배우자, 학교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coarse)’고 비판했다. 예를 들어 비만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장내미생물을 문(phylum) 단위로 분류하는데, 같은 문이라고 해도 그 아래에 과, 속, 종 등 분류가 다른 미생물들이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 헤네지 교수는 이를 ‘새장에 새 100마리와 달팽이 25마리가 있는 상황’과, ‘수족관에 물고기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개념을 만들어냈어요. A, T, G, C 네 가지 블록을 다양하게 조립해 바이오브릭이라는 단위를 만든 거예요. 바이오브릭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의 조각을 뜻해요. ‘모듈’이나 ‘부품’이라고 불리기도 하죠.앞서 블록 장난감의 인기 비결이 ‘표준화’라고 했죠? 바이오브릭도 이런 특징을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클수록 강한 전류가 흘러 전구가 더 밝게 빛난답니다.전위차는 ‘볼트(volt)’라는 단위로 그 크기를 나타내요. 트는 V로 표시하지요. 전지를 보면 1.2V, 1.5V, 9V 등 다양한 숫자가 적혀 있어요. 볼트가 높은 전지일수록 전구를 더 밝게 밝힐 수 있답니다.전자는 정해진 통로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어요.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