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일본, 우주에 머물기 위한 필수품, 우주화물선과학동아 l2019년 07호
- JAXA)는 셀레네 1호를 통해 세계 최초로 달 전체의 3차원(3D) 지도를 제작했고, 빛이 닿지 않는 달 분화구 내부 지형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JAXA는 ‘우즈메(UZUME) 프로젝트’에 돌입한다고 밝혔는데, 우즈메 프로젝트의 핵심은 로버를 실은 셀레네 2호를 달에 보내 땅 속을 조사하는 ... ...
- 탐험┃목성 & 토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시작했다. 카시니-하위헌스는 NASA가 제작한 토성 궤도선 카시니와 유럽우주국(ESA)이 제작한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 탐사선 하위헌스로 구성됐다. 하위헌스는 2005년 타이탄 표면에 착륙한 뒤 한 시간가량 데이터를 전송했다. 카시니는 타이탄에 메탄과 에탄으로 이뤄진 바다와 호수가 있으며, 표면 ... ...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맞서는 이야기인 ‘스타워즈’는 1977년 첫 편이 개봉한 뒤 지금까지 총 9편의 시리즈가 제작된 우주 SF의 대표작이다. ‘포스가 그대와 함께하길(May the force be with you)’ ‘내가 네 아버지다(I am your father)’ 등 명대사가 두고두고 회자되는 스타워즈는 ‘별들의 전쟁’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다양한 ... ...
- 아폴로 9호, 두 비행사가 동시에 우주선 밖으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사령선의 해치를 열어 젖힌 채 서 있다(왼쪽 사진). 러셀 슈바이카트는 달 탐사용으로 제작한 우주복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해치를 열고 사령선 바깥으로 나왔다 ...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국내 초소형 로켓 제작 스타트업인 페리지항공우주와 협업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2018년 12월에는 국내 우주 스타트업 대표 8인 모임인 ‘스페이스 마피아’도 결성했다. 우주 산업에 뛰어든 20대 대표들이 대부분으로 31세인 박 ... ...
- [수학뉴스] 산이 그토록 아름다운 이유, 수학으로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말했습니다.연구팀은 이 규칙을 산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연구하거나 지도를 제작할 때 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복잡계 네트워크’ 5월 6일자에 실렸습니다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세계 연구팀은 이 자료를 토대로 커넥톰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더욱 완벽한 뇌 지도를 제작하고 뇌의 작동 비밀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뇌세포 1억 개 중 지배적인 역할은 7%뿐조 교수팀은 공개된 확산텐서영상 자료 중 100명의 자료를 골라 1억 개에 이르는 방대한 뇌세포가 만드는 신경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시스템 설계까지 반도체를 제작하는 전 과정을 순서대로 배우기 때문이다. 반도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한 재료를 발굴해 소자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소자를 이용해 회로를 설계한다. 회로 설계는 아날로그 설계와 디지털 설계로 나뉜다. 아날로그 설계란 저항과 전압 등을 고려해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재권V에는 어떤 배터리를 달아야 할까요. 리튬 계열 배터리의 전압은 3.7V(볼트)의 배수로 제작됩니다. 7.4V, 11.1V, 14.8V, 18.5V, 22.2V 이런 식이지요. 공장에서는 3.7V 전압의 배터리만 생산하는데, 이것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을 늘릴 수 있습니다.이 중에서 로보트 재권V가 사용할 전압부터 선택해 봅시다.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총 13만 개의 뉴런과 1억3000만 개 시냅스를 14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선폭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 중 집적도가 가장 높다.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가 2016년부터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유기물질인 ‘강유전체(ferroelectrics)’를 이용해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를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