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교사와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주로 사람을 대하는 직업이었다.하지만 수학 보드게임을 제작하고, 이를 즐기면서 수학에 대한 동아리원들의 생각이 많이 달라졌다. 오승윤 군은 “수학을 잘 못해도 수학 게임을 잘할 수 있다는 걸 보면서 보다 수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다만 과학조선 기자로 활동했던 심승택이 보관했던 11권을 이용해 1986년 영인본을 제작했다는 점을 미뤄볼 때 최소 11권 이상은 발간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명학회는 1924년 10월 김용관을 필두로 설립됐지만,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8년 뒤인 1932년이었다. 과학조선 발간 이후 발명학회는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모양과 각도에 맞아 떨어지게 움직이는 오로베이츠의 로봇 모델 ‘오로봇(Orobot)’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경사도를 높이거나 수분 함유율을 조정하는 등 지형 조건을 달리하면서 오로봇의 행동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와 수차례 비교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존 니야카투라 훔볼트대 생물학연구소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및 해양 재생 에너지 개발 회사인 네이벌 그룹과 함께 2단계 실험에 사용할 데이터센터를 제작했다. MS는 “현대 과학기술로는 최대 7000m, 즉 700기압을 견딜 수 있는 장비들도 있다”며 “이런 기술을 활용한다면 우리는 앞으로 36m보다 더 깊은 바다에도 데이터센터를 배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손목 움직여 피아노 치는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뼈와 인대를 모방한 재료를 3D 프린터로 인쇄해 로봇 손을 제작했다. 이 로봇 손은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손가락이 움직이는 수동적인 구조로, 손가락만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는 없다. 연구팀은 이 로봇 손을 이용해 손목의 움직임만으로 피아노 건반을 눌러 간단한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정서를 표현하려고 했다고. 또 바나나의 노란색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반투명으로 제작했다. 마실 때 용기가 약간 기울더라도 내용물이 흐르지 않게 입구 부분에 턱을 만드는 등 기능도 고려했다. 이 독특한 용기는 2017년 특허로도 출원됐다. 위쪽과 아래쪽의 컵을 고속 회전시켜서 마찰열로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휴대전화를 담을 골격은 캐드(CAD·컴퓨터 자동설계 시스템)와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작했고, 이를 포장할 상자는 도둑들이 탐낼 만한 고가의 스피커 사진으로 덮었다. 이제 준비가 다 끝났다. 로버는 자신의 현관 앞에 반짝이 폭탄 함정을 설치했다. 택배로 위장하기 위해 겉면에는 가짜 주소를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장비를 붙여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짐작이 가시죠? 이와 마찬가지로 로보트 재권V의 제작 첫 단계도 바로 몸통입니다. 3차원 테트리스처럼 전자 부품 넣기 앞으로 제가 과학동아를 통해 11개월 동안 만들 로보트 재권V는 사람처럼 직립 보행을 할 뿐만 아니라 스키를 타거나 축구도 할 수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서 교수의 손길이 안 닿은 곳이 없다. 완제품을 구입한 게 아니라 핵심 부위만 맞춤 제작한 뒤 서 교수가 이들을 조립하고 추가 장치를 덧붙여 STM을 완성했다. 그는 “설계상 잘못 조립할 경우 다시 되돌리는 게 불가능했다”며 “DGIST에 있는 무진동 연구실에서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 완성할 수 ... ...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게임을 완성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이틀 동안 만들었던 게임을 포스터에 정리하며 게임 제작을 마무리 했습니다. 게임을 만드는 과정을 다시 생각해보며 알게 된 사실과 느낀 점을 적어냈지요. 이후 친구들과 가족들 앞에서 본인이 만든 게임을 발표했습니다. 문재성 군(수원 영덕초 5학년)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