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급한 사람은 당장 편의점으로 달려가고도 남을 속도다. 그렇지만 수제 맥주를 가정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만든 ‘키트(kit)’보다 훨씬 수월하다는 점만은 인정해야 할 것 같다. 이를 위해 기계에는 발효에 필요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와 탄산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 ...
- [TECH] 새 애국가 담아낸 3D 음향기술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다. 현재 최 감독은 프라운호퍼 IIS가 주도하는 엠펙-H를 이용한 3D 음향 콘텐츠 제작 과정의 표준화 작업에 메인 톤마이스터로 참여하고 있다. 3D 음향을 집에서도 즐길 수 있을까. 최 감독은 “여러 개의 작은 스피커를 내장한 ‘사운드바’가 속속 출시되고 있다”며 “사운드바에 엠펙-H 코덱을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몸 쓰는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19년 02호
- ” 수학 신문에 싣는 내용은 완전히 자유다. 처음에는 교사가 주제를 정해주고 신문을 제작했었는데, 같은 주제를 주더라도 학생들마다 전혀 다른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그래서 한번 학생들 스스로 주제에 관한 아이디어 회의를 하게 해봤다. 그러자 훨씬 더 풍부하고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이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위대한 과학자인 그도 이면에는 고향인 이탈리아를 떠나 미국 땅에서 원자폭탄 제작에 개입하기까지 파란만장한 일생을 살았다. 그의 업적, 그리고 더 위대한 그의 인생을 책에서 만나보자 ... ...
- [과학뉴스] 손목 움직여 피아노 치는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뼈와 인대를 모방한 재료를 3D 프린터로 인쇄해 로봇 손을 제작했다. 이 로봇 손은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손가락이 움직이는 수동적인 구조로, 손가락만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는 없다. 연구팀은 이 로봇 손을 이용해 손목의 움직임만으로 피아노 건반을 눌러 간단한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정서를 표현하려고 했다고. 또 바나나의 노란색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반투명으로 제작했다. 마실 때 용기가 약간 기울더라도 내용물이 흐르지 않게 입구 부분에 턱을 만드는 등 기능도 고려했다. 이 독특한 용기는 2017년 특허로도 출원됐다. 위쪽과 아래쪽의 컵을 고속 회전시켜서 마찰열로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영상미로 무장한 영화 ‘알리타: 배틀 엔젤’의 CG는 한국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CG 제작을 총괄한 김기범 웨타 디지털 CG 슈퍼바이저를 과학동아가 만났다. ‘불쾌한 골짜기’ 극복이 관건 김 슈퍼바이저는 영구아트, ILM 등을 거치며 ‘스타워즈: 깨어난포스’ ‘트랜스포머3’ ‘어벤저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전극으로 사용하고, 실제 광전효과를 내는 핵심 재료인 유기물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습니다. doi:10.1002/anie.201807513 이를 이용해 반지름이 3mm가 될 때까지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태양전지도 만들었습니다. 100회 이상 구부려도 초기 효율의 90% 이상을 유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소메야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Q 수학동아 독자에게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마인크래프트 탈출맵 제작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바위골렘입니다. Q 마인크래프트 방송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2011년부터 마인크래프트를 하기 시작했어요. 제가 만든 탈출맵이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자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현대판 연금술사’”라고 말했다. ● 교수진 - 거울상 대칭 구조 입자 제작, 인공 촉각 신경 구현 서울대 재료공학부의 연구 분야는 크게 재료과학, 구조재료, 전자재료, 에너지·환경재료, 바이오 및 소프트 재료 등 5가지로 나뉜다. 각 분야에 걸쳐 43명의 교수진이 포진해 있다. 주 학부장은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