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d라이브러리
"
척추
"(으)로 총 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척추
동물 수컷은 암컷에서 진화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대신에 암컷은 '선조(先祖)형의 성'이고, 수컷은 거기에서 '유도된 성'이라고 보는 것이다.
척추
동물 전반을 둘러보면 단위생식인데도 교미하는 흉내를 내는 도마뱀(도마뱀은 암컷밖에 없다)이나 암컷 흉내를 내 다른 수컷을 속이는 '가짜 암컷'인 수컷이 있는 뱀과 물고기 등이 그 증거가 된다. 모든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했고 새와 같은 부리에는 이빨이 있다. 멀리 날 수 없는 빈약한 흉골(胸骨)과 긴 꼬리에는
척추
골로 된 꼬리뼈가 있었다. 날개 끝에 아직 퇴화되지 않은 앞발이 남아있는 점 등은 파충류인 공룡의 특징들이다(시조새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93년 8월호 참조).사진으로 밖에 볼수 없는 조선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이 기록이 이미 깨지고 있다. 미국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척추
뼈로 DNA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이라크에서 발견된 이 뼈조각은 5만년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멸종생물 역시 기록이 갱신되고 있다. 이미 1990년에 1천7백만년 전의 화석잎에서 DNA가 추출되었다. 미국 아이다호주에 ... ...
자지복, 사람 유전자연구에 큰 역할할 듯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매우 적격이다"고 말하면서 "자지복은 처음부터 여분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아
척추
동물 유전자의 원래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며 자지복이 실험동물로서 매우 적절함을 강조했다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는데, 숙주세포를 암세포로 변하게 한다. 이는 모든
척추
동물에 존재하므로 모든
척추
동물은 암에 걸린다는 이론이 성립된다. 사람의 경우는 후천성면역결핍증 병원체가 이에 속한다.대개의 알려진 바이러스성 질병은 급성이거나 비교적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확실한 병원체를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혹은 현존하고 있는 곤충 1천2백63개 과의 정보를 모았다. 현재 4지동물(어류 이외의
척추
동물)은 8백25개 과의 화석이 발굴돼 있다.이러한 사실로부터 다른 동물군들은 절멸해도 곤충과는 거의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들은 84%의 곤충과가 1억년 전의 중생대 백악기에 살아 있던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신체 부위 성장을 결정하는 것을 돕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세 팀의 연구진은
척추
동물에서 이에 해당하는 유전자를 찾으려는 노력과 고슴도치 유전자가 동물의 성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해 보는 것이 충분히 가치가 있는 일로 생각했다.그 결과는 그들이 꿈꾸었던 것보다 훨씬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특이한 진화의 예로 들수 있는 것은 디클레오사우루스과의 공룡들이 백악기 중반,
척추
에서 등쪽으로 튀어나온 돌기를 늘어뜨리게 된 것이다.어찌됐건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아마르가사우루스를 보면 목덜미에서 등에 걸쳐 골판이 V자형으로 극단적으로 자라 여기에 피부가 덮어씌워져 큰 ... ...
34억 6천 5백만년전 남조식물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4억6천5백만년 전까지의 기간)이라는 기간은 결코 짧은 것이 아니다. 현재부터 4억년 전에
척추
동물이 양서류 공룡 포유류를 거쳐서 호모사피언스로 발전해온 것을 주목해야 한다."스미소니언 연구소의 고생물학자인 토우는 "남조식물이 적어도 35억년 전에는 대기에 산소를 방출하고 있었다"고 ... ...
강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 때문에 또 다른 부작용도 생기게 되었다. 이 '깨끗한'항구에는 구멍벌레라고 불리는 무
척추
동물이 교각을 지탱하는 나무말뚝을 공격한다. 어떤 것은 림노리아속(屬)의 바닷니(虱)와 같이 아주 조그맣다. 이 동물은 나무의 표면을 조금씩 갉아먹는다. 배좀벌레 조개류의 좀조개라 불리는 이 2피트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