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d라이브러리
"
척추
"(으)로 총 796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른다. 연체동물은 고생대의 가장 오래된 연대인 캄브리아기때 등장했는데 그때는
척추
동물이 나타나기 수백만년전이었다. 대부분의 연체동물은 좌우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고 한쪽끝이 머리부분이다. 내장은 살로 덮혀있고 배에 달린 근육질다리로 움직인다. 또한 많은 연체동물은 자신을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 추간원판의 길이는
척추
전체길이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따라서 체중에 의해
척추
가 눌리면 추간원판의 물이 일부 빠져나가므로 오후에 키가 작아지는 것"이라고 중앙대 의대 정규철교수는 그 이유를 설명한다.이 추간원판의 수분은 어릴수록 많기 때문에 어린이의 경우 키의 '일교차'가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되거나 전혀 다른 형질로 나타날 수 있다.사람은 꼬리는 없지만, 선천성 기형 중에서
척추
의 마지막 부분이 닫히지 않고 벌어져 있는 아기가 태어난 사례도 있다.이처럼 눈으로 확인되는 변이종을 발견해 내거나, X-선 화학물질 등을 이용해서 새로운 변이종을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찾아낸 동물들 ... ...
피라미드 건설기술자 무덤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하와스는 "이곳에 묻힌 사람들의 연령은 35~40세 사이입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그들 모두
척추
에 결함이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한 뒤 그 이유가 과도한 노동량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무튼 연골의 손상은 매우 특징적이다.피라미드 건설작업은 대개 20여년간 지속됐다. 아마도 그 기간에 수천명의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세토막의 용골로 연결돼 총 연장이 30~40m에 이른다. 선체의 바닥에 놓인 용골은 인간의
척추
에 해당하는데 배의 강도를 유지하고, 표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 토막(약 7~10m)의 무게가 3~5t에 달하는 용골 셋이 매우 특수하고 단단한 방식으로 접합돼 있다(접합 부위에 나무못이 교묘하게 박혀있다 ... ...
산호로 손상된 뼈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널리 소개돼 있다. 특히 신경외과와 정형외과 의사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는데,
척추
의 기형이나 골절을 치유할 때 활용가치가 높다고 한다. 예컨대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는 수년 전 극심한 골절을 입은 환자에게 길이가 17㎝나 되는 산호를 이식했는데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몇년 후 이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판명됐다.남극 횡단산맥인 코알색 블러프(Coalsack Bluff)에는 양서류 파충류를 포함한 지상
척추
동물의 뼈화석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사암절벽이 있다. 이 고대지층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뼈들은 2억년 이상 이전에 살았던 라이스트로사우루스(Lystrosaurus)라고 불리는 동물의 화석이다. 이것은 아프리카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특성이며 필자가 알기로는 상어로부터 시작했다. 이는 육지에 사는 거의 모든
척추
동물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모두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새들은 이빨이 없다.그러나 새들도 처음엔 이빨이 있었다. 오래전 멸종된 시조새는 도마뱀 모양의 이빨을 가졌으나 진화되어가면서 사라지고 말았다.새들에겐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강원도 일대는 비교적 얕은 바다로 덮여 있었으며 이 바다는 삼엽충 완족동물 등 무
척추
동물들이 살기에 적합한 장소였다. 이들 삼엽충에 대해 자세히 연구하면 캄브리아기 동안에 우리나라 주변은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가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활용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켰다. 특히 X선 단층촬영 장치의 경우에는
척추
와 수직인 단면의 영상만 촬영가능한데 비해 자기공명영상진단장치의 경우 신체내의 단면을 임의의 각도에서 절단하여 관찰할 수 있다. 즉 횡단면 이외에 종단면 등 임의의 각도에서 관찰이 가능하여 진단의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