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하도"(으)로 총 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거대강입자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순간 생기는 아주 작은 블랙홀을 관측하는 역할을 해요. 거대강입자가속기는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양성자가 올바른 경로를 유지하도록 조정해요. 지난 2007년 4월 마지막 초전도 자석이 지하에 설치되었지요. 터널 안에서는 이렇게 자전거를 이용해 이동한답니다. 지난 3월 아틀라스 검출기로 미니 블랙홀이 생기는 과정을 모의 실험한 사진이에요. 거대강입 ...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푸짐한 선물은 없지만 재밌는 깜짝 퀴즈 다음 중 첨단 빌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첨단 빌딩과 콩나물은 공통점이 있다. 첨단 빌딩은 혀의 감각이 예민해 맛있는 것을 좋아한다. 첨단 빌딩은 유행에 민감해 항상 신상품만 찾는다. 첨단 빌딩은 대머리라 쳐다보면 눈이 부시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몇 번이 정답이라고 생각하나요? 아무리 생각해도 정답이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소제시작]해양과학기지, 새로운 바다영웅을 꿈꾸다! [소제끝] 와~, 해양과학기지가 그렇게 많은 일을 하는지 몰랐어. 정말 대단하다! 그런데 슈퍼맨이 있으면 원더우먼이 있고, 독수리오형제에게는 친구들이 있고, 스파이더맨에게는 메리제인이 있잖아. 그렇다면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게는 누가 있지? 너, 너무 외로운 거 아냐? 해양과학기지 삼총사 탄생! 하하~, 영 ...
- 100년의역사가 흐르는 수도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080612
- 예전엔 우물물이나 강물을 길어 썼지만 지금은 수도꼭지만 돌리면 콸콸 쏟아지는 수돗물을 쓸 수 있지. 그럼 수돗물은 언제부터 공급되기 시작했을까? 서울에서는 무려 100년 전부터 뚝도 정수장에서 보내는 수돗물을 사용해 왔어. 지금부터 수돗물 공급 100주년을 맞아 지난 4월 24일 개관한 수도박물관을 살펴보자! 반가워! 난 수현이야. 먼저 질문 하나! 우리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어린이과학동아 l20080612
- 옛날에는 지진, 태풍, 가뭄 등의 재해가 일어나면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 용서를 빌었다. 하늘이 노해 벌을 내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옛날 사람들에게는 자연재해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신비한 사건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지진이나 태풍이 천벌이 아닌 자연 현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줄기는커녕 늘어나고 ...
- 지진이 불러온 참극의 현장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지난 5월 12일 중국 서부의 쓰촨성 원촨현에서 리히터 규모 8.0의 강한 지진이 발생했어요. 이번 지진은 지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판 중에서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이 충돌해서 일어났어요. 인도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파고들면서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커다란 에너지가 분출돼 지진을 일으킨 거예요. 지진의 위력은 원자폭탄 252개가 폭발한 것과 맞먹을 정도로 컸어요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아주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송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지난 2월 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60GHz 주파수대를 이용해 대용량 멀티미디어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거든요. 이번에 개발된 전송기술을 이용하면, 650Mb짜리 파일을 1~2초 안에 내려받을 수 있다고 해요. 한 시간 정도 분량의 영화 한 편을 눈 깜짝할 사이에 내려받 ...
- 가마우지의 여행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소제시작]바닷가의 사막, 해안사구[소제끝] 아~, 역시 태안은 살기 좋은 곳이구나. 배도 부르니 솔솔 잠이 오네. 응? 이번엔 사막으로 가자고? 에이~, 바닷가에 사막이 어딨어? 싫으면 말라고? 아, 아니, 같이 가요! 어디로 간다고요~? “신ㆍ두ㆍ리ㆍ해ㆍ안ㆍ사ㆍ구! 사구는 모래언덕이라는 뜻이야. 해안사구는 파도에 밀려 해변으로 올라온 모래가 바람에 날려 ...
- “내 아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다른 새의 둥지에 몰래 알을 낳는 ‘탁란’으로 유명한 뻐꾸기와 쌍벽을 이룰 나비의 생태가 밝혀졌습니다. 덴마크 동물학자 데이비드 내시 박사는 유럽산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가 자신의 애벌레를 개미가 키우도록 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이 나비가 습지의 풀 위에 알을 낳으면 습지를 돌아다니던 개미는 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집으로 가져갔어요. 연구팀이 분석 ...
-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 북한산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지구는 지각이라고 불리는 암석 껍데기로 둘러싸여 있어요. 지각 밑의 땅 속 깊은 곳에는 마그마라고 불리는 암석이 녹은 뜨거운 액체가 있지요. 마그마는 지각의 약한 틈을 비집고 위로 올라오거나 지하 깊은 곳에서 식어 단단한 암석이 되기도 해요. 이렇게 지하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밝은 색의 암석이 바로 화강암이에요. 서울에서 가장 높은 산인 북한산은 1억 50 ...
이전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