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영혼
혼
넋
얼
두뇌
혼령
스페셜
"
정신
"(으)로 총 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달리 잠은 사람을 대상으로 뇌파 측정을 통해 이런 사실들이 가장 먼저 알려졌다. 따라서
정신
의학에서 꿈을 매우 중요시한 프로이트의 관점을 지지하는 듯 했으나 그 뒤 다른 포유류나 심지어 조류에서도 렘수면이 존재한다는, 즉 이들도 꿈을 꾼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야기는 새로운 국면으로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보여준다면 밥 딜런은 <내면>을 상징한다. 바로 노랫말이자 메시지를 통해 음악의
정신
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의 논문에 등장한 밥 딜런의 노래 밥 딜런이 존경받는 또 다른 이유는 그의 음악이 곧 당대와 그 세대의 흐름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딜런의 음악을 듣고 자란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
2016.11.09
있었다. “종교적 의식들은 신자들이 논리적인 반대의견에 꺾이지 않게끔 하는 ‘
정신
적 면역 시스템’을 만들어 준다” (Atran & Henrich, 2009)는 것이다. 이렇게 한 배를 탔다는 정체성, 집단의 압력, 신비함으로 무장한 종교 집단의 경우 그게 아무리 사이비라고 할지라도 개인의 힘으로는 벗어나기 ... ...
[멘탈테스트] 당신은 얼마나 멘탈이 강한 사람입니까
2016.10.25
심혈관 반응 수준을 빨리 회복하는데 도움). 또한 지나치게 신경을 많이 써서 고갈된
정신
력을 ‘재충전’해주어 낮아졌던 자기통제력을 회복시켜주는 효과 또한 나타난다. 긍정적 정서는 거친 세상에서 심신을 회복시켜주는 마법의 지우개라고나 할까. GIB 제공 따라서 힘들때일수록 계속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어떤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까. 드 발 교수는 앞에 인용한 말처럼 인간
정신
의 유연성에서 희망을 찾고 있다. 즉 인간은 침팬지 이상으로 잔인할 수도 있지만 보노보 이상으로 타인에 대해 배려할 줄도 아는 존재라는 말이다. 흥미롭게도 드 발 교수는 책에서 중국의 철학자 맹자의 ... ...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6.10.09
아직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20세기 연구자들은 잠을 매우 수동적인 상태로 여겼다.
정신
과 육체활동이 멈추고 감각이 줄어들면 자연히 잠에 빠져드는 것으로 여겼지, 특별한 화학작용이 뇌에서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잠을 일으키는 특정 화학물질이 있다.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책에서 그 원인이 탄수화물이라는 설명을 읽고 식단을 바꾸기로 한 것이다. 그 결과 정말
정신
이 맑아지고 안정되면서 덩달아 식욕도 떨어졌다고 한다. 처음 며칠은 탄수화물의 유혹을 참기 어려웠지만 그 고비를 넘기자 이제는 별로 먹고 싶지 않다고 한다. 특히 뇌의 건강을 위해서 고지방 ... ...
비움으로 더 풍요로워지는 삶, 미니멀 라이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단샤리'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부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법정 스님이 갈파했던 무소유
정신
의 다른 이름일 뿐 결국 지향점이 같은 방향의 철학임이 분명하다.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명사편] 요즈마캠퍼스 김진아 총괄이사
2016.09.09
반증이죠. 창업이라는 게 취업의 대안이라고 보여지는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기업가
정신
의 역량이 국내 창업 청년층에게 근본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다고 밖에 볼 수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창업이라는 것은 쉽지 않은 미지의 것인데, 그를 탐구해 보겠다고 하는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부른다.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환자는 극도의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으로
정신
이 혼미해지고 사망에 이른다. 소설 속 월터의 케이스다. 그렇다면 콜레라균은 어떻게 이처럼 순식간에 사람을 초토화시킬까. 콜레라균의 작용 메커니즘은 연구가 많이 됐고 따라서 ‘미생물학’ 교과서에도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