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4. 핵사찰 허점 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세계각국으로부터 모집되며 채용기준은 이공계 대학출신자로서 원자력
분
야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국제원자력경찰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사찰관이 될 수 있다. 현재 IAEA의 사찰관으로 우리나라 과학자 3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북한 과학자 3명도 사찰관으로 일하고 있다.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노루 산돼지 알프스영양 스라소니 등을 꼽을 수 있다. 조류도 꽤 다양하게
분
포하는 편이다. 대뇌조 들꿩 등이 산악지대에 서식하고 있으며 펠리컨 혹부리오리 야생오리저어새 등이 다뉴브 삼각주지역에 살고 있다. 다뉴브강을 비롯한 여러강에는 숭어 연어 잉어 농어 황어 등 1백10종이 넘는 ... ...
GM 공장자동화계획 차질 빚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한달전에 완성됐다. 이 네트워크를 이용해 트럭생산공정은 종전보다 3
분
의 1로 단축됐다. GM이 MAP를 추진했던 이유, 즉 다른 메이커들의 기계들을 하나로 묶어 궁극적으로 무인(無人)자동화를 이룩한다는 목표는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다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격론이 벌어졌다. 위원장인 웨그슈타인의 중재로 그 문제는 뒤로 돌려진채 각자 방에서
분
을 삭인 대표들은 다시 회의장으로 돌아와 회의를 진행했다.사소한 논쟁을 피하고 구조의 아름다움만 추구하다보니 입출력과 같은 사소한(?) 규정에 소홀 했다. 그 결과 알골은 포트란의 인기를 따라잡지는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은 아니지만 지구와 이웃사촌인 수성 금성 목성 토성은 여느 별보다도 자세히 관측할 수 있다.늦가을이 되었다. 뒹구는 낙엽을 몰아대는 ... 위성들이 서로 가리는 '상호식'이 관측된다. 긴주기를 가지고 나타나므로 독자여러
분
들도 많은 관측과 기록을 남기기 바란다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따라서는 사람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두가지 모두를 없애려는 발상은
분
명 잘못된 것이다.원자로는 보다 많은 인간의 노력과 지혜를 필요로 하는 문명의 이기일 뿐, 공포의 대상은 아니다. 이를 얼마나 더 안전하게 유지하며 관리할 것인가는 우리와 우리의 후손들이 게속해서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열을 받아 타버린다. 우리가 화구(유성중 큰 불꽃을 내며 타는 것)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
분
이것이다. 이 화구가 내는 불빛은 사람의 그림자를 드리우게 할 정도로 밝다. 물론 타다남은 찌꺼기는 지상에 떨어져 운석공(운석이 남긴 흔적)을 만들기도 하고 운석으로 채취되기도 한다.이번에 발견된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첫째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바이러스의 검출과
분
석을 어렵게 만든다. 둘째 랜덤화, 기계 종류, 모니터 종류, 클럭카드의 유무 등에 입각하여 바이러스가 작동한다. 셋째 IBM PC의 클론 제품에서만 작동하므로 원래의 IBM PC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것은 원래의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국제 전기통신연합기구)에서는 우주쓰레기 처리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필자도 제4
분
과위원회 실무작업반에 소속돼 있었는데, 이때 위성공동묘지(satellite grave yard)를 만들기로 했다. 말하자면 이른바 고려장(高麗葬)제도다. 노쇠한 사람을 산채로 토굴에 버려두었다가 죽은후 장사지내던 풍속이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독사는 오늘날에도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대략잡아 전세계 뱀의 10
분
의 1에 달한다. 독사는 위턱의 안쪽에 독액을 저장하고 있는데 그곳을 독샘이라고 부른다. 어떤 물체를 물면 독액은 주사바늘과 같은 독아를 통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된다.독액은 연한 황색이거나 녹색인데 ... ...
이전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