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술을 배웠잖아요. 어쩌면
우리
가 서로 결혼하는 일도 가능할지도 모르겠어요.이제
우리
사이가 아주 가까워졌습니다.
우리
는 알고 있습니다. 2만 4000년 전 이베리아 반도 서쪽 끝에 살던
우리
가 바로 역사 속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이라는 걸.
우리
의 시대는 끝났고 호모 사피엔스의 시대가 열린다는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작은 악마들이 모두 모였다. 집먼지진드기가 죽은 피부(각질)를 먹어치워
우리
주변을 깨끗하게 만든다는 이야기를 즐겁게 읽다가도, 귀퉁이에 나와 있는 현미경 사진을 보면 입고 있던 옷이 갑자기 더럽게 느껴진다. 크기가 아주 작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베개마다 집먼지진드기가 10만~1000만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실내외의 온도가 너무 다르면 건강에 안 좋다. 김정태 경희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
우리
나라는 여름에는 이가 시릴정도로 시원하게, 겨울에는 땀이 날 만큼 따뜻하게 냉난방을 하기 때문에 더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루 종일 따뜻한 방에서 TV를 보던 사람이 영하 10℃인 바깥으로 나왔다가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존의 과학 교과서가 ‘원리가 무엇인가’를 물었다면, 융합형 과학 교과서는 ‘
우리
생활과 어떻게 관련돼 있는가’를 묻는다”며, “궁금한 것을 자유롭게 묻고 토의하는 방식으로 학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009개정 과학교육과정개발사업단(융합형 과학 기획 및 개발)책임자 김희준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배설물에 섞여 있는 곰팡이가 자라면서 작은 공처럼 생긴 자실체를 만들어내죠. 그럼
우리
는 이 영양덩어리를 따 먹는답니다.사회자: 보통 정성이 아니군요. 그런데 굳이 이렇게 번거로운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이유가 있습니까?흰개미: 물론이죠. 저희가 키우는 곰팡이 터미토미세스가 워낙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바디 포워드’가 주제였다. 사람을 더 건강하게 만드는 방법 14가지를 임무로 정했다.
우리
가 만들 로봇은 이 14가지 임무를 2분 30초 동안 마쳐야 했다. 막힌 혈관을 뚫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스텐트를 삽입하고, 악성종양과 정상세포를 구분해 치료하는 로봇을 만들어야 했다.로봇의 프로그램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인간이 ‘초개체’라는 사실이 상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까.[인체 거주 미생물 분포
우리
몸의 부위에 따라 거주하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분류학적종의 분포가 다르다. 미생물군집 PCR 분석으로 찾아낸 데이터를 종합했다. 최근 메타유전체 분석 결과가 반영되면 종의 숫자가 훨씬 더 늘어날 것이다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구절이 나온다. 전화만으로도 소문이 이토록 빨리 전해지는데 인터넷 시대는 어떨까.
우리
는 지금 개인의 가십을 포함한 온갖 정보가 넘쳐흐르는 사이버 세계에 살고 있다. 남에게 과한 관심을 갖는 사람들 때문에 인터넷은 끝없이 확대·재생산되는 가십의 장으로 얼룩지고 있다. 잘못된 정보로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이란 논문을 보면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마이크로미터 세계에는
우리
가 경험하는 세계 이상의 세상이 존재할 거라고 한다. 이것이 현재의 MEMS 및 나노 기술의 시발점이 됐다.연구실 분위기는 자유로운 토론과 자율권이 보장됐다. 단,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기 위해 시간 ... ...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30% 선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기 수원시에 있는 경기과학고는 1983년에
우리
나라 최초로 문을 연 과학고다. 과학고로 27년간 학생들을 선발하다가, 지난해 영재고로 전환된 뒤 두번 ... 보면 어느날 부쩍 향상된 자신의 실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
학교에 들어온다면 더 많은 기회가 열린다 ... ...
이전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