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없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지구공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과연 지구공학은
우리
가 쓸 수 밖에 없는 대안일까. '병보다 위험한 치료법’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Part1. 왜지구 공학인가Part2. 지구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뿌리는 방법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투자에 비하면 매우 저렴합니다.C국 그래도
우리
가 지구 자원을 남용했기 때문에 기후변화가 온 것인데 섣불리 또 무언가를 위해 의도적으로 지구를 변형시킨다는 게 옳은지 모르겠습니다. 환경단체들이 무척 반발할 것 같은데요.D국 기후변화는 어쨌든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바이러스 단백질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
우리
가 오랫동안 찾고 있는 만능 백신이 실현될지도 모른다”고 희망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Part 1. 구제역 전파Part 2. 숙주 특이성Part 3. 백신 ... ...
[과학뉴스] AI 안 걸리는 유전자 변형 닭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았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를 접종한 유전자변형 닭은 AI에 걸리지 않았지만 같은
우리
에 있는 유전자를 변형하지 않은 닭은 모두 병에 걸렸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 연구가 가축 폐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2010 ‘몰래산타’ 대작전!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친한 친구의 추위를 녹여주기도 합니다.과학실험수업을 함께 한 산타 김성희 씨는 “
우리
의 몰래산타 대작전이 성공했다”며 “평생 잊지 못할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아이들과 함께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실험을 마친 후 산타와 아이들은 모두 함께 어우러져 노래하고 춤을 추며 크리스마스이브를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통계활용법을 배워야 한다. 이 말을 남긴 사람은 누굴까. 통계학자일까. 아니다.
우리
에게 백의의 천사로 알려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남긴 말이다. 나이팅게일은 나라를 바르게 운영하려면 통계를 잘 이용해야한다고 믿었다. 사랑과 희생으로 전쟁터를 누비며 죽음의 문턱에서 병사를 구한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설이 마지막이 아닐까. 최근 ‘굳지 않는 떡’이 탄생했다. 떡이 굳지 않는다면 앞으로
우리
의 간식도 달라질 것이다.위에 소개한 가상 요리들이 올해 실제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덕분이다. 이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취하며 물거나 혹은 물 것처럼 행동으로 방어하기도 한다.이외에도 애벌레 세계에는
우리
가 알고 있는 것 이상으로 많은 위장과 변신술이 판치고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것보다 숨어 있는 자연의 신비가 훨씬 더 오묘하다. 보존 본능의 지혜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까운 천체로 쉽게 관측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도 지구에 큰 영향을 주므로 예로부터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돼 왔다. 한달이라는 시간도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며, 동양에서는 ‘음력’을 쓴다.그렇다면 지구 주위에서 달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사진)은 인도에서 유럽으로 건너간 쌍륙의 하나로
우리
쌍륙과 비슷하다.이처럼 쌍륙은
우리
나라를 포함해 세계 전역에서 즐기는 주사위놀이다. 쌍륙이라는 이름은 판의 칸이 한 줄에 12개, 즉 6×2인 데서 붙여졌다. 주사위는 짐승 뼈나 나무 등을 깎아 6면체로 만든 뒤 각 면에 1개부터 6개까지의 ... ...
이전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