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화와 현대 화학을 넘나드는 12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화학 구조에도 영향을 미친 12축구공의 모양은 건축과 화학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의 유명한 건축가인 리차드 버크민스터 풀러는 건물이 어떤 모양을 하고 있으면 안전한가를 연구했고, 특히 지오데식 돔에 관한 많은 업적을남겼다. 지오데식 돔은 내부에 기둥을 받치지 않고 적은 재료로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SMR파와 베타파를 이용한 뉴로피드백으로 ADD와 ADHD를 치료하는 데 성공한다.1979년에
미국
의 데이비슨 박사는 좌뇌와 우뇌의 알파파 균형이 깨지면 우울증에 걸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소위 정서장애에 대한 뇌파적 이상을 발견한 것이다. 1995년에 로젠펠트 박사는 좌뇌와 우뇌의 알파파 균형을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아진공 상태를 유지하기가 유리하다. 그래서 일찍부터 해외 전문가들은 영국 런던과
미국
뉴욕 사이, 즉 대서양 아래로 다니거나 중국이나 러시아 대륙을 지하로 횡단하는 진공튜브열차를 상상한다. 김 박사는 “경남이나 호남에서 해저(지하)를 지나 제주까지 닿는 노선도 상상할 수 있다”고 ... ...
땅 속 희유금속, 식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금속 세계 생산량의 96%을 생산하는 중국은 희토류 금속을 발 빠르게 자원무기화했다.
미국
과 일본, 유럽연합(EU) 또한 희유금속 비축량을 확대하는 등 희유금속 전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희유금속 확보전에 뛰어들어 자원외교를 하고 있다.“21세기에는 희유금속 자체가 성장동력입니다.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손이 더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었으며 도구의 사용도 가능해졌다.직립보행도 중요하다.
미국
의 언어학자 마이클 코발리스는 인류의 조상이 두발로 걷게 되면서 손과 팔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됐고, 이로 인해 의미 전달의 수단인 손동작이 자연스럽게 생겨나면서 언어가 발달했다고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든 플라스틱 제품이 나왔단다.(동그란 사진) 잠깐! 이산화탄소를 잡는 인공나무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지구물리학자 클라우스 랙크너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나무를 연구하고 있어요. 이 인공나무는 자연의 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1000배나 더 흡수할 수 있다고 해요. ... ...
수학 프로그램으로 실제 범죄를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찾아 공식화했다.모셜 교수는 예측 모델의 효과를 알아보려고 2004년부터 2005년까지의
미국
로스앤젤레스 범죄 기록을 이 예측 모델에 적용했다. 그 결과 범죄 지역을 약 25%의 정확도로 맞혔다. 현재 산타크루즈의 경찰은 이 예측 프로그램을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시험 중이다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이 실험을 진행하던 중 빛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 계기는
미국
시카고의 페르미연구소에서 주도한 미노스(MINOS)라는 실험 때문이었다. 미노스 실험은 오페라와 비슷한 거리에서 중성미자를 쏜 것이었는데 2006년 측정 결과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옮겨야 했다.그러나 셰프트만 교수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그는 이 결과를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존 칸 박사와 함께 물리학 분야 과학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 이후 학계에서는 이런 원자 구조를 가진 결정이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논쟁이 벌어졌다. 불과 한 달 뒤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1970년대
미국
과 옛소련의 탐사선이 달 표면에서 흙과 암석을 가져왔고, 2004년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스타더스트가 빌트2 혜성 주위를 스쳐지나가며 가스와 먼지를 채집한 적도 있다. 하지만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인 달과 달리 이토카와는 중력이 지구의 10만분의 1에 불과해 탐사선을 ... ...
이전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