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상태(준 액체, quasi-liquid)로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6년 12월 12일자에 발표했다.이미 약 150년 전, 영국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0℃ 이하에서 얼음 표면에 액체와 비슷한 얇은 층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후 얼음이 미끄러지고 빙하가 움직이는 데 이 층이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살처분된 가금류는 2000만 마리가 넘는다. 195일 만에 1396만 마리가 살처분된 지난 2014년의 역대 최고 기록을, 이번에는 불과 한 달 만에 훌쩍 넘겼다.아직까지 국내 감염사례 없지만 주의 요망AI는 조류 간에 전염되면서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다. 참새와 비둘기, 기러기 같은 야생 조류는 물론, 닭이나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성씨의 다양성이 낮았다. 전국 모든 지역의 α값의 평균을 구해보면 1985년부터 2015년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대한민국이 전체적으로 다양한 성씨가 모여 사는 추세로 변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시도별 평균 α값을 보면, 서울 및 광역시의 인구는 다양한 성씨로 구성돼 있다.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 ...
- Intro. 빅뱅마불게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잠시만 참고 인류의 위대한(!) 작품을 감상해 보시지요. 그 시작은 지금으로부터 꼭 90년 전인 1927년, 벨기에의 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가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사건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해 아래와 같은 현대의 표준우주모형이 완성됐죠. 한번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길이기도 하다.현재 필자는 비국소적 중력모형 중 하나인 DW 모형을 연구하고 있다(2007년에 처음 나왔다). f(R) 모형처럼 함수의 모양을 조절해 우주상수를 흉내 내는데, 안정된 계라는 게 확인됐고 태양계 검증도 거뜬히 통과했다. 인과율에 위배되지 않고 새로운 에너지의 도입 없이 가속팽창도 잘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존재가 예측된 지 8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의 존재를 암시한 다양한 관측 증거를 암흑물질 없이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 중 하나가 수정뉴턴역학(MOND)이다.수정뉴턴역학은 1983년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물리학자 모티 밀그롬이 처음 제안했다.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지난해 10월 29일부터 매주 열리고 있습니다(2016년 12월 19일 기준). 거리에는 촛불을 든 시민들과 함께 경찰버스를 이용한 ‘차벽’ 역시 매주 등장합니다. 차벽이 설치되는 주된 이유는 집회를 하는 사람들이 신고한 집회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됐다.가난과 영양 부족에서 벗어날 새로운 희망탄자니아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지 50년이 갓 넘은, 역사가 짧은 나라다. 인구는 약 5200만 명 정도지만,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4배가 넘는다. 대다수의 아프리카 국가처럼, 탄자니아 국민들은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루 소득이 2달러에 못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신이 제안한 페르미온이 전혀 새로운 입자가 아니라, 볼프강 파울리가 1931년에 예측한 중성미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중성미자는 17가지 기본입자 중의 하나로, 페르미온이면서 전기적으로는 중성이다. 전기적인 성격이 없어 입자와 반입자가 같다는 성질을 만족할 수 있고, 당시에는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일 년에 한번씩 모이는 자리에서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논문을 제출하겠다는 이야기만 5년을 했다. 핵심이 되는 데이터는 논문을 제출하기 2년 전쯤에 이미 나와 있었지만, 연구진들 사이에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어려웠다. “염색체 이름 하나를 정하는 데에만 두 달이 걸렸습니다. 논문을 낸 뒤에도 ... ...
이전7227237247257267277287297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