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칵 퍼즐 여행] 제주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친구들 안녕? 2017년 새해가 밝았어. 새해에는 퍼즐을 풀며 멋진 여행지로 떠나보려 해. 처음으로 가볼 곳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제주도야. 앗, 그런데 여러분이 수행할 미션이 하나 있어. 바로 첫 번째 퍼즐부터 네 번째 퍼즐까지 풀고, 각 퍼즐에 표시된 ○△◇에 해당하는 숫자를 (○+△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지 흐름이고, 인류, 지구, 우주의 ‘기원’을 찾아가는 게 다른 한 가지 흐름입니다. 2017년 과학동아는 이 두 축에 따라 기사를 정렬해, 멀리 보고 깊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과학기자의 눈에 비친 정치, 경제 등 사회 이슈 속 과학이야기 역시 꾸준히 게재합니다.좋은 기사를 더욱 많은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기술은 속도나 집적도, 소비전력 등에 한계가 있다. 메모리 속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려면 원자의 배열과 방향을 바꿔야 하는데, 전류를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경우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MRPrimerV’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핵산연구’ 온라인판 2016년 11월 30일자에 실렸다.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보통 DNA를 증폭시키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사용한다. 병 초기에 몸속에 극소량 존재하는 특정 바이러스 유전자를 진단 가능한 수준으로 ... ...
- [과학뉴스] 근시를 막으려면 햇볕을 쬐어라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계산했다. UVB는 햇볕을 쬐는 야외활동 시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 결과 청소년기(14~19세)와 젊은 성인이었을 때(20~29세) UVB에 많이 노출될수록 근시가 나타날 위험이 줄었다.연구팀은 “햇볕을 쬐면 근시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며 “임상에 적용해 효과를 기대할 수 ... ...
- [과학뉴스] 긴장할 때 숨을 빨리 쉬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험을 앞두고 있거나, 혹은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나도 모르게 호흡이 빨라진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숨쉬는 속도가 두려움을 느끼는 것과 ... 것은 두려움을 덜 느끼기 위한 본능적인 반응”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뉴로사이언스’ 2016년 12월 6일자에 발표됐다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된 스마트폰을 포함해 이미 100억 개가 넘는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돼 있다. 앞으로 2020년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연결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는 이미 도래해 있다.이미 스마트폰이나 스마트미터, 스마트카,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스마트팩토리 등 여러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다. 세상에 많은 명제들은 0과 1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했고, 컴퓨터 역시 무리 없이 약 2년마다 두 배씩 성능을 높여왔다(무어의 법칙).참과 거짓만으로 표현되던 세상이 무너지다견고한 철옹성 같은 2진법이 위협을 받기 시작한 건 20세기 초 미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쿠르트 괴델이 ... ...
- 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0년.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그게 아홉 번 지나니 우주의 역사가 바뀌었다.1927년 벨기에의 천문학자 조르주 르메트르가 빅뱅이론의 시초인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이후, 빅뱅이론은 물리이론과 관측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연료 삼아 사변적 우주론에서 과학적 우주론으로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예상보다 어둡게 보이는 현상(가속 팽창의 증거)을 설명하려면 반지름이 약 10억 광년이고 밀도가 평균보다 40%가량 낮은 빈 공간 중앙에 지구가 위치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설정은 코페르니쿠스의 원리에 어긋나고, 이 규모에서 실제 물질 분포의 편차가 그렇게 극단적으로 크기를 기대하기도 ... ...
이전7247257267277287297307317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