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충남대(신소재분야)
과학동아
l
199410
새로운
교수
를 확보해
교수
1인당 학생수를 1:19로 낮추는 한편, 현행 학기당 10시간인
교수
의 책임시간을 6시간으로 줄이고 대학-산업체간 교환근무제를 도입하면 지금보다 더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5년간 50억원씩 지원되는 국고 외에 충남대가 대응 투자를 위해 확보할 재원은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09
동원하여 효소와 같은 촉매활성을 갖게끔 한 것을 '항체효소'라 부른다. 미국의 벤코빅
교수
팀이 처음으로 이 항체효소를 만들어냈다. 항체효소가 천연효소보다 그 기능이 뛰어난 점은 천연효소가 촉매할 수 없는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앞으로 고정화시켜서 바이오리액터를 만들면 지구를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변화를 쉽게 파악하기 때문이기도 하다.작년 노벨 경제학상은 시카고 대학 베이커
교수
에게 돌아갔다. 그의 경제이론은 케인스나 사무엘슨 경제학처럼 대국적인 정책을 위한 경제학이 아니다. 낱낱이 사회구성원의 심리를 대상으로 삼는다. 수학에도 경제학 사회학의 경우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09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을 토대로 새로운 이론을 전개했다. 1609년 파도바 대학의 수학
교수
였던 그는 네덜란드의 리페르셰가 유리를 갈아서 만든 기구를 통해 먼 곳에 있는 물체를 가까이 본다는 소문을 듣고 곧 배율이 수십배나 되는 정교한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는 새로 발명한 망원경으로 관측한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09
장소와 정반대되는 북반구 43도 근처에 뜨거운 장소가 발견됐다.한편 작년 말에 김용하
교수
와 필자가 한 학회에서 예견했던 ${H}_{3}^{+}$ 이온이 충돌장소에서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 분광관측으로 확인됐다.하와이 천문대에서는 적외선 관측 결과 아주 뜨거운 CO가 발견됐다. 충돌 구름은 약 2백50km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9
대상에 오른다는 말이 자연스레 나오고 있다.그러나 최근 일본 북해도대학의 사카가미
교수
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여 흥미를 끌고 있다. 그 이론의 핵심은 "개미처럼 일한다는 표현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며, 개미라고 모두 일만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또한 개미의 하루 근로시간은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409
김영기-무엇보다
교수
님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삶의 자세에서 배운 바가 큽니다.
교수
님을 '한국의 린네박사'라 부르고 싶습니다. 공부가 아니라 공부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진정한 교육이지요. 그점에서 어떤 교육이 좋은 교육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됐습니다.현장교육에서 분류학은 중요도가 ... ...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l
199409
뇌로부터 연구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를 시도한 대표적인 학자는 미국의 마커스라이클
교수
이다. 그는 1988년 언어기능을 PET로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이와같이 PET는 뇌의 해부학적 변화보다는 생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인에게 각종 자극을 가하여 그 변화를 관찰할 수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덕분이었지만, 그 꿈이 구체화된 것은 1980년부터 일본 오사카대학 단백질연구소의 초빙
교수
로 드나들면서였다.왜 인공단백질을 만들려고 하는가. 그 하나는 자연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보다 더 우수하고 쓸모있는 단백질을 합성하여 의료, 약품생산, 공업, 식품생산 등에 이용하려는 것이다. ... ...
(3) 인공단백질 합성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409
것이다.천연보다 우수한 인공 단백질 설계가능지난 1988년 필자는 미국 코넬대학 방문
교수
시절 캘모듈린이라는 칼슘결합 단백질의 유전자를 설계하여 합성하고, 이 유전자를 대장균에 밀어넣어 인공 캘모듈린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한 바 있다. 또 콩과 인삼에서 캘모듈린 단백질을 순수하게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