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05
교수
와 목성의 이온층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광화학반응을 공동연구해온 김상준
교수
는 "행성 천문학자 수백명의 모든 관측자료가 종합되면 지구에 외계물체가 충돌했을 때 생기는 여러가지 현상들을 예견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 "이라며 "이 자료는 6천5백만년전 소행성이나 혜성이 지구와 ... ...
아시아 어린이 언어체계 때문에 수학 잘 한다
과학동아
l
199405
수 개념은 한국어나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동양 언어에서 더 잘 이해된다는 것.미우라
교수
를 비롯한 일군의 연구자들은 미국 프랑스, 스웨덴 출신의 어린이들과 아시아권의 어린이들에게 숫자 블록을 주고 42를 세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서양 어린이들은 대개 42를 하나씩 올려놓았지만 ... ...
사람처럼 감정 표현하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405
웃고 슬픔에 잠긴 로봇이 등장할 것 같다. 일본 도쿄대학 공학부 하라 후미오
교수
는 최근 개최된 얼굴 심포지엄에서 인간처럼 희노애락을 얼굴 표정에서 구현하는 로봇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앞으로 로봇이 인간과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
식물, 왜 '근친혼' 싫어하나
과학동아
l
199405
유도한 실험결과가 발표되었다.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대 골드버그
교수
연구팀은 꽃가루가 생산되는 꽃밥의 한 조직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는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세균의 RNA 분해효소 유전자를 부착시켜 키메라 유전자를 제조했다. 이를 담배세포에 도입시키자 형질전환 세포에서 ... ...
척추동물 수컷은 암컷에서 진화했다
과학동아
l
199404
생명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의 하나는 성(性)이 있다는 점, 즉 암컷과 수컷의 구별이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다세포 생물은 자신의 성에 의해 겉모습 체형 행동, 또 어 ... 많은 연구와 검증을 거치면 동물 성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크루스
교수
는 말한다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04
증가해 전자가 원자핵 안에 얌전하게 갖혀 있지를 못한다." 수원대 물리학과 곽영직
교수
의 설명이다.1920년대 들어 러더포드는 원자핵 속에 양성자와 전자가 뭉쳐서 형성된 중성 입자가 들어있다고 제안했고 그 이름을 중성자로 불렀다. 시간이 흐를수록 보이지 않는 원자 내부는 조금씩 그 실체를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04
환경문제에 대한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고 규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때 의과대학의
교수
로 봉직한 경험이 있는 러브록은 오존층 훼손이 미칠 수 있는 악영향에 대해서 독특한 관점을 가진다.그는 열대지방의 가시광선량은 극지방에 비해 불과 1.6배에 불과하지만 자외선은 그 양이 7배나 강하다는 ... ...
뮤입자를 이용해 인체 내 미량원소를 측정
과학동아
l
199404
원소 양의 변화를 추적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도쿄대학 나가미네
교수
는 "뮤입자는 미량의 불순물에도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생물체의 불순물 분포나 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인 입자다. 이를 의학 분야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뮤입자 전용의 가속기를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04
들 수 있다. 당시 마산여고 지학교사였던 허찬구 선생이 발견한 이 화석은 당시 서울대
교수
로 있던 필자가 연구, '한국 함안의 새'라는 뜻이 담긴 학명 Koreanaormis hamanensis Kim이라 명명한 바 있다.북한에서 조선 시조새가 발견됐으니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남한에서도 발견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
과학동아
l
199404
주는 것으로 '한국의 노벨상'이라 불리기도 한다.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 절실서정헌
교수
는 인공효소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동기를 한마디로 '도전 할 것이 많기 때문'이라 말한다. 천연 효소에 대한 연구의 경우 있는 자연현상을 발굴하고 정리해내는 것인 데 반해 인공효소는 새로운 것을 ... ...
이전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