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남지역 유일의 한의대로 인기높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모두 설치돼있고 부설 보건전문대학까지 있어 의약계통이 이 대학교의 핵심
분야
로 떠오르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한의과대학이 대외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학생들의 입학성적도 가장 높아 한의대생들의 자부심이 크다는 것. 한의대생중 약 30%가 각종 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어 교내최고의 ... ...
한국 화학 연구소 이서봉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한 달에도 30~50편의 논문이 나오고 있을 정도지요. 우리나라에서도 근래에 들어와 이
분야
에 대한 연구에 착수하고 있읍니다. 이번에 우리 팀이 한 연구도 그런 맥락에서 지난 83년부터 정부와 민간의 공동연구로 시작됐읍니다." -기존의 납 축전지와 다른 점이 있다면… "이온화 경향에 차이가 ... ...
식생활의 혁명-제4세대의 식품이란? 최상의 것을 값싸게 구하는 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할 수 있는 음식점이 즐비하게 있지 않습니까. 이렇게하여 식품농업은 최첨단의 연구
분야
가 되었으며 매우 활발하게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는 산업으로 등장했다. 만들어낸 동·식물들 축산물이건 농작물이건 간에 이제 모든 산물이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빨리 보다 크게 사육되거나 재배된다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세계 정상급의 분자생물학자들이 일하고 있다. 「제놈」사 설립 그러나 생명공학
분야
의 벤처 비지니스가 모두 그렇듯이 바이오젠사는 순풍을 만난 배같이 순탄한 앞날을 약속받은 것은 아니었다. 항암제로서 기대를 걸었던 알파 인터페론의 항암효과가 크지 않아 실망을 안겨주자 그 생산과 ... ...
인공지능의 국내 개발 씨앗은 이미 뿌려졌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한다. 보아온 것과 같이 인공지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이
분야
에 일본과 유럽이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다. 국내 기업에서도 이 기술을 이용하여야 하고 정보산업체에서는 이 시장에 침투하여야한다. 아니 이 시장에서 이기지 못하면 정보산업에서 도태되고 말 것이다 ... ...
공해없는 꿈의 차 전기자동차는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분야
예를 들어 우편배달차 같은 용도에 유리하다. (표1)은 전기자동차의 이용 가능한
분야
가 예상외로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이제 전기차의 발달과정과 국내외의 개발현황을 살펴보자. 전기자동차의 역사는 요즘 일반화된 가솔린차보다 오히려 더욱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초의 자동차는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전자
분야
에서 일본이 진출하는것을 소홀히 보아넘기다 고배를 마신 미국으로서는 우주
분야
에도 일본이 진출하는것이아닌가하여 가볍게 보고 있을수가 없다. AW지 취재팀은 어떤 의미에서는 미국 항공우주산업이 일본에 보낸 정찰대 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취재팀은 일본 당국자의 입이 무거워 ... ...
컴퓨터 사용자들의 모임 PC클럽 어떻게 운영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나와있는 실정이다. 대형 컴퓨터에서부터 중형, 소형, 개인용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
를 다루고 있으나 그 내용이 비교적 쉽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의 초보자들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다년간의 컴퓨터 업무 종사자들에게 더욱 적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 ...
경기공업개방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따라 각종의 자격증을 따게 되는데 지금까지의 통계에 의하면 약 80%의 학생이 해당
분야
의 각종 자격을 취득했다. 기술사나 건축사 등 시험에 대비, 고시반을 운영하는 등 자격취득에의 욕구가 매우 크다는 것. 취업률은 87년의 경우 76%를 기록했다.경기공업개방대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특성있는 ... ...
임목 육종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그 응용의 결과로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에 대해 힘주어 설명했다. “임목의 유전생리연구
분야
에서는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및 품질개량을 위한 실험을 하고 있읍니다. 특히 아배양법(芽培養法)에 의해 현사시와 이태리포플러의 눈(芽) 1개에서 매월 10~20배를 증식시켜 묘목 대량생산이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