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SW가 미래다 2] 로봇 공학도, 월가도 소프트웨어가 이끈다2015.04.10
- 말했다.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해 ‘휴보의 아버지’로 불리는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환갑이 넘었지만 지금도 각종 기계 제어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한다.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원이기도 한 오 교수는 로봇뿐 아니라 다방면에 소프트웨어를 활용한다. 2012년에는 적도의(赤道儀) ... ...
- 포장 뜯지 않고 김치 숙성상태 판별… 농부대신 김매는 ‘제초로봇’도 개발동아일보 l2015.04.09
- 가 이끄는 지능형포장연구센터에서 개발했다. 지능형 포장은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등 첨단기술이 합친 차세대 융복합 기술이다. 올해 전 세계의 지능형 포장 시장 규모는 66억 달러(약 7조194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교수는 “1인 가구 급증과 인구 노령화 등으로 ... ...
- 치사율 60%, 진균성 뇌수막염 유발 유전자 대거 발견2015.04.08
- 뇌를 둘러싼 막에 다양한 균이 침투해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반용선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진균(곰팡이균) 속에서 질병을 일으키고 항진균제 내성에도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대규모로 발굴하고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일자에 ...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2015.04.07
- 재료가 개발돼 뇌조직에 심는 미세전극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신경공학저널 제공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의 제프리 카파도나 교수팀은 뇌의 대뇌피질에 이식하는 미세전극에 해삼의 전략을 적용했다. 즉 신경계 질환을 치료할 때 미세전극이 유용하지만 자칫 뇌조직에 ... ...
- “통합수능 봐야만 창의적 인재 되나?”2015.04.07
-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권을 확보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김기혁 계명대 교통공학과 교수는 공대 차원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인문학과 융합하라는 정부의 요구에 대학 교과과정에 융합과목들을 포함시켰는데, 고등학교 때부터 융합교육을 하면 오히려 기초 수학·과학 지식은 부족해져 이런 ...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동아사이언스 l2015.04.07
- 생명과학기술이 실제 활용되는 현장을 확인합니다! 4월 24~25일(금~토, 1박2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서울동물원 동물병원에서 진행될 생명과학 현장 취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유료로 진행됩니다.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 ...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2015.04.0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손동익, 배수강 선임연구원, 박종혁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김정규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학부 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하는 소재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2015.04.06
- 가까스로 다닐 정도이며 언덕 등을 만나면 거리는 더 줄어든다. 박호석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용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출력이 높아 언덕도 쉽게 오를 것으로 보여 이 배터리가 ... ...
- 암덩어리 중심까지 약물 전달… 나노기술로 항암제 효과 높였다2015.04.06
- 효과를 큰 폭으로 높여 암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지호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은 종양 전체에 약물이 골고루 전달되게 해 항암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나노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암은 수술로 떼어내는 것이 최선이지만 수술이 어려울 만큼 커졌거나, ... ...
- DNA 사촌 ‘PNA’로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개발2015.04.05
-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에후드 가짓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분자 미생물학 및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인공 DNA의 유사체인 ‘PNA(Peptide Nucleic Acid)’를 이용해 스스로 조립하는 한 겹짜리 디스플레이 제작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2일자에 발표했다. 요즘 휴대전화 액정은 외부 ... ...
이전7237247257267277287297307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