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트륨-공기 전지’ 성능 저하 미스터리 풀었다
2016.02.22
성능 저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서는 미스터리로 불렸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팀은 나트륨-공기 전지의 효율과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찾아 전지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고 22일 밝혔다. 나트륨-공기 전지는 지구상에 풍부한 나트륨과 공기를 이용하는 ... ...
잡았다, 방사성 세슘 흡착 기술 개발
2016.02.21
방사성 세슘(137Cs)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허윤석 인하대 생명
공학
과 교수와 노창현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 팀은 푸른색을 내는 색소인 프러시안 블루와 그래핀을 이용한 ‘방사성 세슘 정화용 나노복합체’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반감기가 30년에 ... ...
재건성형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6.02.21
3D 프린터로 출력한 인공조직을 실제 재건성형에 사용한 사례도 있다. 조동우 포스텍 기계
공학
과 교수는 이종원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교수, 김성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와 공동으로 2013년 11월 같은 방식으로 디자인한 코-기도 지지대를 3D 프린터로 출력해 당시 6세였던 안면기형 환자의 ... ...
애플의 ‘시리’ 넘어선 3세대 음성인식 서비스
2016.02.19
온 e메일 좀 확인해줘.”(연구원) “한 통이 있습니다.”(로봇) 고려대 전기전자전파
공학
부의 한 연구실. 키 160cm인 로봇 ‘쿠봇(KUBOT)’이 연구원과 한창 대화 중이다. 쿠봇의 ‘개인기’는 음성인식 기술. 말할 때마다 입술을 움직이고, 배에 붙어 있는 디스플레이에는 이 말이 글자로 찍힌다.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 출연연 벽 허물고 뭉친 ‘어벤저스’
2016.02.19
농가의 생산성과 품질을 끌어올리는 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줄기세포로 난치병과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줄기세포 유래 맞춤형 융복합 NK세포 치료제 개발’ 융합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또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싱크홀 등 지하 매설물 붕괴 ... ...
암세포가 만든 슈퍼 히어로? ‘데드풀’의 과학
2016.02.19
만들어낸 새로운 히어로가 등장한 셈이다. 영화에 묘사된 생체실험은 무자비한 생명
공학
실험에 가깝다. ● 스트레스가 잠든 유전자 깨워 주인공은 생체실험 이후 불사(不死)에 가까운 신체 복구 능력을 얻는다. 영화에서는 이 능력을 ‘힐링 팩터’로 부른다. 힐링 팩터 덕분에 주인공은 적의 ... ...
포항공대, 하늘나라로 보내는 졸업장
2016.02.18
씨는 고등학생 때 떠나보낸 형을 롤모델 삶아 빈곤층을 돕는 ‘착한
공학
’을 실천하는
공학
자가 되겠다는 꿈을 꾸고 있다. 장 씨의 장례식 때 들어온 조의금은 ‘장세민 학생 장학기금’으로 조성돼 선후배에게 지급됐다. 부친 장병강 씨는 “세윤이가 포스텍에 합격한 뒤 형의 추모공원 ... ...
인공심장 만드는 새로운 세포배양기 나왔다
2016.02.17
될 것으로 보인다. 김주민 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팀은 황욱렬 경상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동물세포배양기의 공기방울(기포) 크기를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는 미세 유체장치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동물세포배양기 내에서 생긴 기포가 세포 손상의 ... ...
충전량 10배 더 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기술 개발
2016.02.17
10배나 더 큰 ‘리튬-공기’ 전지를 상용화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김일두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리튬-공기전지용 촉매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리튬-공기 전지는 전기자동차나 빌딩용 전기저장장치 등에 사용되는 미래형 전지로 꼽힌다. 하지만 ... ...
손 마비 환자, 이 장갑 끼니 통조림도 따네
2016.02.16
조규진 서울대 교수팀이 만든 '엑소 글러브 폴리'. 장갑 자체는 물에 닿아도 망가지지 않으며, 컵을 쥘 수 있는 것은 물론 양치도 할 수 있다. ...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이배슬론 2016 공식 홍보 영상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팀이 만든 엑소글러브폴리 관련 영상 ... ...
이전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