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로봇 반란 막으려면2015.05.23
- 수리할 수 있다면 로봇이 반란을 일으킬 여지도 사라진다.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로봇은 인류에게 친구이자 동반자, 조력자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면서 “로봇과 인류의 공생을 모색한 결과 이런 원칙이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2% 부족한 쇳덩이에서 인류 위협하는 존재로2015.05.23
- 년판에서는 주인공과 로봇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이 부각된다.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예전에는 로봇의 지능에만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빅데이터가 발달하며 사회성 등 감성을 가진 로봇을 만들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면서 “로봇과 인간의 갈등은 발전하는 로봇 기술에 대한 ... ...
- 아라미드에서 그래핀까지, 방탄복의 진화2015.05.22
- 7배 이상 강하다.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인 이재황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기계 및 산업공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활용해 강철보다 10배 이상 효과가 뛰어난 방탄복을 개발하고 지난해 11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름이 1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그래핀을 여러 겹 쌓아 ... ...
-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데까지?2015.05.20
-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이홍희 명예교수, 이병호 기계항공공학부 연구원, 백영빈 화학생물공학부 박사(왼쪽부터).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물을 통과시키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처리 막을 개발했다. 김용협, 윤제용, 이홍희 서울대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를 ... ...
- 오, 놀라워라~ 파도 쳐도 바위에서 안 떨어지는 홍합 접착력2015.05.20
- 특정 환경에서 물질을 방출하는 단백질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차형준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홍합이 바위에 붙어 있는 원리를 이용해서 약물 전달로 쓸 수 있는 접착성 단백질 나노입자를 만들고 국제학술지 ‘안게반테 캐미(Angewante Chemie)’ 1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홍합이 ... ...
- [청년드림]윤성규 장관의 환경분야 취업 조언동아일보 l2015.05.20
- 알았다. 건설부에서 근무하면서 틈틈이 고시를 준비했다. 이런 중에 한양대 기계공학과 야간과정 3학년으로 편입해 학업까지 병행했다. 그리고 1977년 기술고시에 합격했다. 곡절 많던 자신의 젊은 한때를 청년들에게 들려주던 윤 장관은 “돌아보면 그때는 형편에 맞춰 되는 대로 움직였던 것 같다. ... ...
- 2014 브라질월드컵 ‘기적의 시축’ 만든 니콜렐리스 교수 2015.05.20
- 중구 을지로7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만났다. 그는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공학 분야를 개척했다. 1999년 쥐가 자신의 생각을 이용해 로봇팔을 움직여 먹을 것을 얻도록 한 실험을 시작으로 2008년엔 미국에 있는 원숭이가 생각을 통해 일본에 있는 로봇 다리를 움직이도록 하는 데 ... ...
- 5분이면 얇고 휘어지는 전자소재가 ‘뙇’!2015.05.18
- 윤명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박성규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팀은 그간 제작하는 데 2시간 이상 필요하고 가격도 높은 초박막 전자소재를 5분 만에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께가 25㎚(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로 매우 얇고 ... ...
- ‘뜨는’ 인도와 ‘되돌아온’ 쿠바2015.05.17
- 또 정부에서는 ‘생명공학부(Department of Biotechnology)’라는 부처를 따로 두고 생명공학 연구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네이처는 인도가 진정한 과학기술 강국의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대학만 700개나 되지만 교육 환경은 여전히 열악하고, 정부 ...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2015.05.15
- 아리랑 5호에는 파장이 수 cm인 X밴드 레이더가 달려 있다. 정형섭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 교수는 “아리랑 5호가 보내오는 영상을 분석해 도심 싱크홀이 발생하기 쉬운 곳을 예측할 수 있다”면서 “현재 아리랑 5호가 28일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만큼 발사 후 3년 정도 지나면 싱크홀 예측에 ... ...
이전7187197207217227237247257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