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처 빨리 낫도록 돕는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2015.06.12
- 상처 회복 기간을 10분의 1로 단축하는 치료제를 개발했다. 최강열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의 몸속에서 뼈의 성장이나 골수세포 분화를 더디게 만드는 ‘CXXC5’ 단백질이 피부 상처의 회복도 늦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내고, 이 작용을 차단해 상처가 빨리 낫도록 돕는 새로운 ... ...
- 신약 후보물질도 ‘바코드’ 찍어 확인2015.06.08
- 붙은 바코드를 통해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윤식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정대홍 화학교육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표면증강 라만산란(SERS)’을 이용한 코드 시스템을 개발해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5월 28일 자에 발표했다. 표면증강 라만산란은 빛을 ... ...
- [휴보, 로봇 올림픽 우승] 44분 28초 만에 8개 임무 ‘퍼펙트’ 2015.06.08
- 바퀴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신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권인소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시각처리 프로그램을 휴보에게 이식해 휴보가 카메라와 레이저로 주변을 촬영하면 이 데이터를 더욱 정확하게 처리하도록 했다. 2004년 휴보가 한국의 첫 인간형 로봇으로 알려졌을 때만 ... ...
- [휴보, 로봇 올림픽 우승] 한국 로봇의 자존심 ‘휴보’ 2015.06.08
- 등 다양한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했다. 오준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기계공학과 교수)은 “한국에서 100차례 이상 연습을 거듭했고 3주 이상 미국 현지에서 전지훈련을 거쳤다”며 “앞으로 보다 성능이 뛰어난 재난대응로봇을 개발하는 등 현실 세계에서 적용 가능한 로봇을 ... ...
- [메르스 업데이트] 바이러스 확산 예측 못하나2015.06.06
- 연구 단계지만 한국도 전염병 확산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황교상 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연구원(박사 과정)은 지난해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인플루엔자 확산 모델을 만들었다. 안인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팀장은 “국내에서는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우리 ... ...
- [재난로봇 올림픽, 최종 리허설] 한국로봇 우승 가능성 한층 더 커졌다2015.06.05
- 수행하고 있는 로봇 ‘침프’. - KAIST 제공 오준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기계공학과 교수)는 “아직 본선이 시작되지 않았고 실력을 감추고 있는 팀들도 있어 방심하기는 어렵다”면서도 “과제 수행시간을 수분 정도만 더 줄이면 내일은 우승도 기대해 볼 만 하다”고 말했다. 주최 ... ...
- 콜라겐으로 세포시트 5분 만에 만든다2015.06.03
- ’를 5분 만에 만드는 기술을 국내연구팀이 개발했다. 김은경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은 피부미용 단백질로 인기가 많은 ‘콜라겐’을 이용한 세포시트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전까지 세포시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1시간 이상이 소요됐다. 온도에 민감한 특수 고분자 위에서 ... ...
- [재난로봇 올림픽, D-2] 코리아 로봇, 화이팅!2015.06.03
-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다. 여러 기준에서 매우 완성도 높은 로봇으로 평가받고 있어 로봇 공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 포모나=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야야 저 팀 로봇 좀 봐.” “정말 독특한 구조네. 어떻게 저런 설계 할 생각을 했을까.” 2일(현지시간) 오후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 인근 ... ...
- 멍게 껍질로 시린 이 감쪽같이 코팅2015.06.03
- 교수(왼쪽)와 오동엽 연구원. - 포스텍 제공 황동수 포스텍 융합생명공학부 교수팀은 시린 이 치료에 효과적인 신물질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일자에 게재했다. 시린 이는 잇몸이 약해지면서 치아 뿌리 부분이 잇몸 밖으로 노출되고, 뿌리 표면을 덮고 있는 ... ...
-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2015.06.02
- 묽은 산을 이용하는데다 엄격한 공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김왕준 동국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는 "허가가 났다는 것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뜻"이라며 "다양한 미생물이 향미물질이나 생리활성물질을 만드는 전통 발효 간장에 비해 품질 차이는 날지 몰라도 식품으로서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 ...
이전7157167177187197207217227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