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51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트랜지스터 성능 25배↑
2016.04.13
성능은 25배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함문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
공학
부 교수(사진)팀은 제작이 간단한 용액공정을 통해 저가 재료만으로 구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TV, 휴대전화 등에 탑재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다. 간단한 ... ...
지름 2㎜ 물방울이 0.2㎜ 굵기 거미줄에 초속 1㎝로 부딪힌다면?
2016.04.13
것일까. 국내 연구진이 이런 궁금증에 시원한 해답을 내놨다. 김원정 서강대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유체 방울이 줄(와이어)에 충돌하는 과정에서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야 줄에 남을 수 있는지 예측하는 관계식을 찾아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물방울의 지름과 줄의 지름, 충돌 속도를 서로 ... ...
스마트폰 ‘Home’스크린이 앱의 공동 묘지가 되는 이유
2016.04.13
새로운 시대가 열리면서 주변에서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인체
공학
적, 사용자친화적…. 사람이 이용할 때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통틀어 UI 혹은 UX 디자인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대상물을 통해 과업을 수행하고자 ... ...
바다에 유출된 기름, 시간당 2만 L 빨아들이는 기술 개발
2016.04.13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정화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김용협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사진)팀은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는 ‘그래핀’을 이용해 해상에 쏟아진 기름을 100%에 가까운 순도로 회수할 수 있는 고성능 방제장치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지금까지 기름이 해상에 ... ...
일산화탄소 먹고 수소 뱉어내는 심해 고세균
2016.04.11
수 있는 균주를 처음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강성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명
공학
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일산화탄소가 풍부한 심해에서 서식하는 고세균 ‘NA1’의 일산화탄소 적응 현상을 적용해 바이오수소를 생산하는 균주 ‘156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해양 심해열수구 ... ...
KAIST에 부는 ‘명상’ 바람 “수업 듣고 인생관 변했다”
2016.04.10
학생들도 적잖게 늘었다. 이 명상 붐을 이끌어 낸 인물은 이덕주 KAIST 항공우주
공학
과 교수다. 그는 한국형 헬리콥터 연구, 우주발사체 나로호 음향측정 등 국내 핵심 항공우주사업에 참여했던 국내 엔지니어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가 명상 분야에 일가견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 ...
초미세 물방울 증발하는 0.3초 찰나의 순간 포착
2016.04.08
증발하는 찰나의 순간을 동영상으로 담는 데 처음 성공했다. 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
공학
부 교수팀은 부피가 240펨토리터(fL·1fL는 1000조분의 1L)인 물방울이 0.3초 동안 증발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포항가속기연구소가 보유한 초고속 X선 나노영상 빔라인을 ... ...
“섰거라, 구글 자율주행車”… 현대-기아 맹추격
동아일보
l
2016.04.07
기술상으로 가장 앞서나가고 있지만 상용화는 다른 얘기다. 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는 “구글이 연구 중인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기술은 당장 상용화하기에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며 “일반인들이 쓸 수 있는 정도의 가격으로 기술을 구현하려는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고, ... ...
착한 사람 제조 기술: 버튼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착한 사람이 될 수도 있다?
2016.04.06
디자인(Philips Design)의 UX 디자인 컨설턴트로도 근무하였다. 학부 및 대학원에서 컴퓨터
공학
과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전공하였으며 현업 시절 UX 경영 공부를 목적으로 MBA 과정을 밟았다 ... ...
신약개발 골칫거리 ‘스크리닝’ 과정 손쉽게 바뀐다
2016.04.05
지승욱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질환표적구조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김기범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나노이온소자(nanopore)’를 이용해 극미량, 초고감도 약물 스크리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단백질 반응을 이용해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 ...
이전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