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제(師弟) 지간 한국인 과학자들, IEEE 논문 최고상 2관왕2016.04.21
- 부사장)으로 구성된 한국 연구팀이 통신네트워크 분야 최고 논문상인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윌리엄 베네트상’ 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UNIST가 20일 밝혔다. IEEE는 최근 3년간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독창성, 인용 횟수, 파급력, 석학 평가 등을 종합해 매년 논문 1편에만 이 상을 수여한다. ... ...
- 피부에 붙이기만 하면 정신건강 감정 끝2016.04.19
- 측정할 수 있어 건강측정의 새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영호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정신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피부 부착형 패치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사람의 맥박을 측정해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는 검사 장비는 과거에도 ... ...
- 물에서 수소에너지 값싸게 얻는 태양광 기술 개발2016.04.19
-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김수영 중앙대 화학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윤활유로 쓰이는 재료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박막을 이용해 수소 생산률을 기존보다 20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듯 태양광 에너지로부터 ... ...
- NASA와 이동통신업체가 협력 연구를?…“세상을 바꾸는 기술의 위력 절감”2016.04.19
- 총책임자에 오른 인물이다.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버지니아공대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89년 NASA에 입사해 20년 만에 이룬 성과다. - 신원건 동아일보 기자 laputa@donga.com 제공 그는 한국이 훈련용 전투기와 헬리콥터는 물론 위성과 발사체까지 개발하는 등 최근 항공우주 ... ...
- 싼 전기료로 TV는 더 밝게 본다2016.04.18
- 디스플레이를 더 밝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김선경 경희대 응용물리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가장 구현하기 어려운 색으로 알려진 청색 발광다이오드(LED)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빛을 발하는 ... ...
- 물 대신 유기액체 사용, ‘그래핀’ 주름 제거 마침내 성공2016.04.18
-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조길원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으로 전자회로를 찍어낼 때 최대 단점이었던 ‘주름’이 생기는 과정을 규명하고, 어떤 표면에도 미세 결함 없이 그래핀을 옮겨 찍는 새로운 전사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 ...
- 투명 랩만큼 얇다, 손등에 딱 붙는 초박막 전자피부 개발2016.04.18
- 개발한 초박막 전자피부 ‘e-스킨(skin)’ 얘기다. 소메야 다카오 일본 도쿄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어지면서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의 초박막 전자피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사이언스’ 자매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15일자에 발표했다. ... ...
- 우리 몸속 ‘골키퍼’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다2016.04.17
- 물질의 이동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다. 다니엘 린 캘리포니아공대 화학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을 비롯한 국제 공동연구진은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핵막공복합체의 구조를 규명한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에 2편의 논문을 통해 발표했다. 핵막공복합체는 세포의 내막과 외막 사이에 ... ...
- 오줌의 대변신…자기 복제하고 맞춤형 화장품까지2016.04.15
-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과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등 국내 공동 연구진은 혈액응고인자가 부족해 피가 잘 멎지 않는 혈우병 환자의 소변에서 치료의 실마리를 확인했다고 지난해 ‘셀 스템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환자의 소변에서 얻은 ...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2016.04.15
- 14일 밝혔다. 이 내용은 지난달 15일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학술지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온몸이 서서히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를 포함해 사지를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들이 마지막까지 움직일 수 있는 유일한 신체 부위가 눈이다. 2008년 ... ...
이전7117127137147157167177187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