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5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피부 모방한 압력센서 개발
2016.04.26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피부처럼 압력을 인식하는 센서를 개발했다. 한창수 고려대 기계
공학
과 교수(사진)팀은 피부 감각기관의 구조를 모방해 전력이 거의 없어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부착형 센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피부 등 감각기관은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이용해 감각을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늘릴 때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유전질환이다. 이창수 충남대 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생식세포 분열 중 염색체를 장시간 분석해 유전자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가 분열을 통해 숫자를 늘리는 중 유전자 재조합 ... ...
RNA 간섭 이용해 약물 쉽게 전달하는 나노 구조체 개발
2016.04.25
연구결과는 암을 포함해 유전질환이나 바이러스 감염 질환 등 다양한 생명
공학
, 의학 분야의 치료제 개발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응용화학분야 국제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3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
과학동아
l
2016.04.24
제공 빛이 인도하는 방향으로 걷는 초소형 바이오로봇이 개발됐다. 미국 일리노이대 생명
공학
과 라시드 바시르 교수팀은 빛을 비추는 방식으로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3D프린터와 근육세포를 이용해 만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 ...
마약탐지견 행동조절 원인, 유전자에서 찾았다
2016.04.24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진은 올해 2월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
공학
과 연구자들이 체세포 복제기술로 생산한 특수목적견 복제 강아지 5마리의 모습. - 국립축산과학원 ... ...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
과학동아
l
2016.04.23
제공 창문의 투명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응용과학대 데이비드 클라크 교수팀은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옵틱 레터스’ 3월 15일자에 발표했다. 투명도를 조절하는 창문은 기존에도 있었지만 ... ...
‘알파고’로 세상이 변하는데…20대 국회 과학기술인 5명뿐
2016.04.23
눈에 띈다. 전자
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구본철 의원(18대)은 KT 상무대우를 지냈으며, 전기
공학
박사 학위가 있는 이용경 의원(18대)은 KT 사장까지 올랐다.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한 20대 송희경 당선자는 KT 기가 IoT 사업단장(전무)을 지냈다. 과학기술계 국회의원들이 처음 국회에 입성한 나이는 평균 ... ...
50년 간 달려온 한국 과학기술, 미래 50년 설계 중
2016.04.22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스마트 자동차 기술을 개발 중인 선우명호 한양대 미래자동차
공학
과 교수는 “자동차 분야는 거대 산업인 만큼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과 고용 연계를 유도해 국내 경제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본격적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는 드론 ... ...
N극과 S극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 마그넷 컴퓨터
과학동아
l
2016.04.21
방향을 이용해 0과 1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석 컴퓨터’가 개발됐다. 미국 UC버클리 전기
공학
과 제프 보커 교수와 홍정민 연구원은 자성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의 자기 메모리 칩을 개발해 3월 11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자기칩은 처음으로 ‘란다우 ... ...
수분 OK, 재사용 OK…신개념 CO₂흡착제 나왔다
2016.04.21
같은 다양한 국제 규약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민기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고성능 흡착제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지구온난화가 문제로 지적되면서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 ...
이전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