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5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종훈 고려대 생명
공학
부 교수팀은 김동성 포항공대 기계
공학
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체내 환경을 모사한 나노 구조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췌장베타세포로 분화시키는 효율을 4배 높였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멍의 크기가 다양한 나노 표면을 만든 뒤 그 위에서 ... ...
국내 첫 인공지능(AI) 전문 커뮤니티 ‘AI코리아’ 운영자
2016.04.05
MIT 학부와 석사과정을 모두 5.0 만점으로 졸업했다. MIT의 인공지능 연구실에서 컴퓨터
공학
과 수학을 복수전공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등으로부터 고액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지만 병역 의무를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고 제대 후 삼성전자에서 근무하고 있다. AI코리아의 주축을 이루는 멤버들도 ... ...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04.04
심지어 지나친 믿음으로 손해를 본 사람도 있었죠.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는 “이런 실험 결과를 보면 배신은 뇌의 생물학적인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옥시토신의 강력한 효과 때문에 옥시토신 스프레이가 판매되고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까지 ... ...
“사용후핵연료 처리 ‘발등의 불’… 골든타임 놓치면 안돼”
동아일보
l
2016.04.04
주체에 당부하고 싶은 얘기가 있다면…. ▽정 교수=결국 기술
공학
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
공학
적 문제다. 중저준위 방폐장 부지 선정 때 처음에는 관심 갖는 지역이 없다가 특별법을 통해 지역에 돌아가는 혜택을 설명하니까 2005년에는 서로 유치하겠다고 경합을 하기도 했다. 의외로 정부가 구체적인 ... ...
동력 없이 바닷물을 민물로 만드는 기술 개발
2016.04.03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재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팀은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나노기술을 이용한 무동력 담수화 기술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현재 정수기를 만들 때 이용하는 역삼투압 방식은 빠르게 염수에서 소금을 분리해 담수를 ... ...
“실력으로 뭉친 네트워크”… 한인 청년 파워 커진다
동아일보
l
2016.04.02
만들었다. 모임의 취지에 공감하는 한국인이 늘면서 지금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공학
자는 물론이고 경영학 관련자, IT 디자이너 등의 소그룹이 여럿이다. 회원도 3700명으로 늘어났다. 강준 K그룹 회장은 “실리콘밸리 자체가 자신이 가진 네트워크를 핵심 자산으로 삼아 작동하는 곳”이라며 ... ...
[책의 향기]건강을 위협하는 藥의 무서운 진실
동아일보
l
2016.04.02
의약품의 효능과 위험성에 대해 판단력을 갖춰야 한다고 촉구한다. 그는 의사와 생명
공학
자에게는 이 문제를 바로잡기를, 정치가에겐 국민의 일원인 환자에게 최상의 의료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을 만들기를, 개인에게는 용기의 자세를 갖출 것을 주문한다. 원제처럼 ‘빅 파마(Big Pharma)’ 시대에 ... ...
[토요판 커버스토리]실리콘밸리 입성한 ‘토익 315점’
동아일보
l
2016.04.02
않는다. 이 지역의 실업률은 4% 내외로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다. 특히 스템(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전공자들은 시장에 나오자마자 높은 몸값에 스카우트된다. 최근 IT 전공자는 물론이고 금융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가 각광받으면서 한국 청년들의 도전도 활발해지고 있다. 미국을 ... ...
존 홀드런 “科技정책 지속하려면 분명한 성과 보여줘야”
2016.03.31
009년부터 미국 내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는 홀드런 실장은 매사추세츠공대(MIT) 항공우주
공학
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지구행성학과 에너지자원 분야를 가르치며 기후변화 대책 마련과 핵 확산 방지를 주창했다.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신경세포 자극 칩을 내놨다. 남윤기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팀은 박지호 KA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빛과 열을 통해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신경세포의 활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광-전기 복합 자극 칩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 ...
이전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