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물에 빠졌다구요? 침수(浸水) 라벨 믿지 마세요~
2015.06.02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신뢰성 분야 세계 최고 저널 ‘신뢰성
공학
과 시스템안전(Reliability Engineering & System Safety)’ 5월 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미래를 듣는다 12] “대학의 본질은 교육”
2015.06.01
문제를 해결하게 하고 있고, 올린공대는 5~7명의 학생이 그룹이 돼 지도교수와 함께
공학
관련 프로젝트를 1년간 수행하는 식입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도 교수들이 학기 중 3일 연속(72시간)으로 학교를 비우지 못하게 하고 있을 정도로 교육에 치중하도록 제도화했습니다.” ― DGIST가 도입한 ... ...
이것은 스파이더맨의 인공 거미줄?
2015.06.01
질긴 섬유를 뽑아낼 수 있어 산업적으로 큰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기계
공학
과 유승화(32) 교수팀은 매사추세츠공대(MIT) 등 미국 3개 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새로운 인공 거미줄 제조 방법’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거미줄은 강철보다 튼튼하고 방탄섬유인 ‘케블라’에 버금갈 만큼 ... ...
자외선만 내뿜는 양자점 LED 나왔다
2015.06.01
발광다이오드(LED)를 개발했다. 이창희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와 차국헌 화학생물
공학
부 교수, 이성훈 화학부 교수팀은 37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파장대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양자점 LED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5월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전자기록 의무화? 쓰는 사람 못봐”
2015.06.01
“앞으로는 전자 연구노트가 대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책임기술원은 “국내외 기업이 통일된 규격으로 프로그램을 공급해야 연구원들이 연구 자료를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면서 “연구노트와 관련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대신 뇌 활성화 정도로 실재감을 측정하려는 과학자들이 있다. 이형래 한양대 의용생체
공학
과 교수팀은 2006년, 가상현실을 체험할 때는 뇌 특정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인지과학’ 저널에 발표했다. 뇌기능영상(fMRI)을 촬영한 결과, 실재감이 클수록 인지작용과 관련된 부위인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
공학
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전환은 아직 어렵다. 크랩스터는 부력 탓에 수중 무게가 200kg으로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작은 나라인 독일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이 됐답니다. 앞으로 우리 미래세대도 기계
공학
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경쟁력을 키워나갔으면 좋겠어요. Q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한 말씀 해주세요! 꿈을 가지세요.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푹 빠져서 즐기세요. 즐기며 ... ...
침팬지에게 인신보호영장 발부할 수 있나
2015.05.29
재산권을 둘러싼 법정 싸움도 있다. 2009년 미국의 한 시민단체는 유타 주에 위치한 생명
공학
기업 미리어드제네틱스(Myriad Genetics)를 대상으로 특허 무효 소송을 진행했다. 미리어드제네틱스가 유방암과 난소암 관련 유전자로 알려진 BRCA1, 2 검사를 수년간 독점하면서 엄청난 수익을 얻었다는 것이다. ... ...
‘힘세고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온다
2015.05.28
용량과 효율을 높여 힘세고 오래 가는 충전지 소재를 개발했다. 이진우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기존보다 3배 이상 충전용량이 큰 리튬이온전지 전극 소재를 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스마트기기 사용량이 증가하고 전기자동차가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각광받으면서 충분한 전력을 ... ...
이전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