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8,8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02
변경이 훨씬 수월하다. 인간의 짧은 기업경제 역사와는 비교도 되지 않게 오랜 세월 동
안
시행착오를 겪으며 터득한 그들의 경영이론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02
학생이 함께 연구하는 새로운 과학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만 된다면 그동
안
과학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어려운 수준의 개념과 지식을 가르치면서 사고력과 창의력은 전혀 기르지 못했다"는 비난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02
부호를 부여하거나 자모 하나 하나에 부호를 부여하더라도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다.그동
안
한글 코드 논쟁에서는 완성된 음절 하나 하나에 부호를 부여한 것을 '완성형'으로 자모 하나 하나에 붙인 것을 '조합형' 한글코드로 불렀다. 결국 무엇을 한 글자로 볼 것인가에 대한 견해 차이를 극복하는 ... ...
자동차
안
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02
LG 등 업체들이 공동개발한 것.무선분야 최고를 자랑하는 미국에서도 CDMA는 상용화가
안
된 최첨단기술로 아직 충분하게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국내에서 서비스의 성공여부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02
없애며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현재 레벨트 박사는 생각에서 말로 이어지는 과정이 뇌
안
의 어떤 장소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해 실험할 계획이다.이 실험에서 자주 쓰이는 낱말고 그렇지 않은 낱말의 그림을 피실험자에게 보여주고 뇌 영상화 기계(뇌자기도, magnetoencephalograph)를 사용, 그들의 뇌 상태를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02
5-87년 : 제록스와 애플 내부에서 연구시작. 87년 말 제록스와 애플이 만나 유니코드 초
안
작성.88년 : 제록스와 애플, 단일화된 한자세트 국제표준기구(ISO) 시연.89-90년 : 유니코드 준비그룹 발족. 애플 메타포 RLG 선제록스(이상 창립멤버) 마이크로소프트 IBM 앨더스(Aldus) 넥스트(이상 90년 참가)91년 :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01
환경에 따라 그 환경에 맞게 신진대사를 하는 생명체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제
안
했다.또 칼 세이건은 그의 저서 코스모스(Cosmos)에서 드레이크 방정식을 이용해 우리와 같은 지적 생명체가 적당한 환경에서 발생해 우리와 통신할 확률을 계산했다. 그의 계산에 따르면 1천억개의 별이 모여있는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01
버튼을 두번 연속으로 누른다. 그림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이고, 여기서 가로 세로 크기,
안
과 밖의 여백 등을 조정할 수 있다.(그림2)①3칸과 2줄짜리 표를 만든 후 동서남북 사신도라고 쓴 칸을 대폭 줄이고 그림 들어갈 자리를 크게 키웠다. 4개의 셸에 각각 그림을 불러왔으며, 그림이 들어간 셸 ... ...
군고구마 네온사인
과학동아
l
199601
켜지는 스탠드가 있으면 된다. 스탠드의 원리는 정전기를 이용한 것이다. 스탠드 스위치
안
에는 축전지가 들어있다. 그곳에 정전기가 생겨 있다가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 접촉되면 (-)전하가 빠져 나오면서 전위차가 변한다. 이 전위차에 의해 전기 신호가 생기고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위의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01
남극은 인간이 살기에 너무 힘든 곳이다. 그런 곳에서 1년 이상 지내는 연구원들에게는 특별한 뭔가가 있어야 할 것 같다. 남극 연구원들의 백인백태는 어쩌면 인간의 ... 푼타아레나스의 사람들 사이에 끼어 든 것만으로도 “잊혀진 삶을 다시 찾았구나” 하는
안
도감이 들기에 충분했다 ... ...
이전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