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근육로봇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수 있어 지금 쓰는 로봇보다 몸속 조직과 장기에 손상을 덜 주기 때문이다. 또 아예 나노크기로 만들어 몸속에 넣으면 이 로봇이 몸속을 헤엄쳐 다니며 온몸 구석구석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이탈리아 피사 산타나고등연구원을 중심으로 유럽의 여러 연구팀이 모여 문어 다리의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유리구슬에서 가장 높이 튀어나온 부분과 가장 깊이 들어간 부분의 높이 차가 고작 1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이 구슬을 지구만큼 키워보자. 가장 높은 산이라고 해봐야 겨우 1.5m다. 이는 구슬의 반지름에 대해 1000만분의 4도 안되는 수준. 100만분의 1도 안되는 중성자별보다 더 완벽한 ...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반응, 생체 반응과 같은 현상을 분석할 수 있다. 10억분의 1m 규모의 매우 짧은 파장으로 나노 및 펨토 크기의 물질을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2014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중이다.현장을 소개한 진숙현 홍보팀장은 방사광가속기의 존재 의의를 한 사례로 설명했다. 재작년 전세계를 강타했던 신종플루 ... ...
- 세계적인 헤어디자이너 '다지지고 뽀까뽀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물었다.“저희는 머리모양을 더 빨리 고정해 주는 파마 약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어요. 나노 촉매가 파마약을 반응시켜 20분 만에 파마를 할 수 있어요.”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악당 업새블라가 연구실에 몰래 들어와서 뭔가를 훔쳐 갔다. 도대체 뭘 훔쳐 갔을까? 연구실에 설치된 CCTV를 이용해 사라진 ... ...
- 세계 최대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바이러스랍니다. 제 지름은 0.7㎛(마이크로미터)나 돼요. 보통 바이러스의 지름이 10~1000㎚(나노미터)이니, 제가 얼마나 큰지 짐작이 되죠? 저는 DNA 유전자를 1000개나 갖고 있고, 다른 바이러스들과 달리 꼭 전자현미경만이 아닌 광학현미경으로도 보일 만큼 충분히 크답니다.넌 어떻게 발견됐니?전 ...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반사코팅은 이를 2% 이하로 낮춰져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나노 입자 코팅 기술이 나와 빛이 반사되는 것을 0.2%까지 줄이면서 김이 서리는 것도 막을 수 있게 됐다. 오목렌즈 vs 볼록렌즈 vs 원주렌즈오목렌즈와 볼록렌즈는 근시와 원시를 교정할 때 쓴다. 두 렌즈 모두 상이 ... ...
- 2분이면 휴대전화 충전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이 게르마늄 나노튜브로 2분만에 충전할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를 만든 거지요. 게르마늄 나노튜브를 사용하면, 기존의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대량으로 만들기 쉽다는 장점도 있어요. 게다가 리튬 저장능력도 3배나 좋아서, 휴대전화나 노트북뿐만 아니라 전기차 등 여러 제품에 쓰일 것으로 보여요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나노푸드의 안전성이 10년 안에 검증 될 것으로 보고 있어요.화학반응뿐 아니라 이제는 나노기술까지, 과학이 이렇게 요리와 가까운 줄은 정말 몰랐어! 이제 무작정 굽고, 튀기기 전에 과학 공부부터 해야겠어! 레미!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가르쳐 줄 거지?앞으론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전기자동차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들어가면서 바퀴의 형태를 바꿔 바퀴가 앞으로 굴러가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나노 크기의 기계는 움직일 때 빛이나 가열된 표면 같은 외부의 도움이 필요했지만 이 분자자동차는 전자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그러나 아직 이 자동차는 영하 266℃의 진공상태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 연구팀은 ...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정도로 작다. 정비위성은 나노위성을 붙잡은 뒤 우주무덤에 있는 인공위성을 찾아간다. 나노위성을 재활용할 안테나에 설치한 뒤 안테나를 떼어 내 목표 위치에 가져다 놓는다. [DARPA의 피닉스 프로그램에서는 무인 정비위성이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에 다가가 로봇팔로 안테나를 떼어 내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