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그렇게 만든 터렐의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이 공간에 있는 ‘간츠펠트’입니다. 밖에서 봤을 때는 계단 위에 네모 반듯한 캔버스가 붙어있는 줄만 알았는데, 계단 위로 올라 안으로 들어가면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집니다. 캔버스가 아닌 발을 내딛고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나온 겁니다. 입구 근처에 ... ...
- 신비┃우리는 우주의 유일한 것인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빅뱅이 무한히 일어나며 새로운 우주를 하나씩 계속해서 창조할 수 있는 셈이다. 그밖에 우리 우주 안에 우주상수가 다른 새로운 우주가 생길 수 있고, 이 과정이 반복돼 다중우주가 된다는 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론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다중우주론은 모두 완벽한 것은 아니다. 영원한 ... ...
- [전지적 수학시점] 카트라이더, 백터로 코너 잘 돌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게임 순위 10위권에 들며 화제를 모았습니다. 한때 경쟁 게임이 대거 등장하면서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었지만, 다른 게임을 하다가 잠깐 즐길 수 있는 ‘세컨드 게임’을 목표로 업데이트한 결과 순위를 역주행할 수 있었죠. 카트라이더는 캐릭터와 카트 그리고 트랙을 골라 레이싱을 펼치는 ...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1017년 동안 1번이다. 100억 년이라는 우주의 역사 동안 삼중 충돌 화학 반응이 0.0000001번 밖에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얼음 위에서는 이런 확률이 높아진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올 같은 단순한 성분이 차가운 얼음층에 덮여 우주먼지 입자를 형성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여기에 1년 동안 100만 ...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해 수분이 없어도 뭉치고, 딱딱한 물체로 누르면 자국이 생긴다. 그밖에 사진 속 우주인과 아폴로 달 탐사선의 그림자 방향이 각각 다르다는 의혹도 단골 메뉴다. 어두운 그늘이나 태양을 등진 피사체가 오히려 밝게 빛나는 까닭이 지구에서 조명을 여러 개 설치해 촬영을 했기 ...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중이다. 이를 완성해 2020년 우주비행사를 태우지 않은 오리온(Orion) 우주선을 지구 궤도 밖으로 보내는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SLS는 한번에 26t까지 수송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45t까지 탑재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된다. 우주 탐사의 핵심, 로켓의 진화는 계속된다 ... ...
- [실전! 반려동물] 안절부절못하는 고양이, 때가 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유방암이지요. 또 생리 기간 중에는 수컷 개를 찾기 위해 탈출을 감행하기도 해요. 집밖으로 뛰어나가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지요. 수컷 개도 중성화 수술을 안 할 경우 고환 종양이나 전립선 비대증 등의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져요. 9세가 넘어가면 전립선 비대증에 걸릴 확률이 95% ... ...
- 아폴로 9호, 두 비행사가 동시에 우주선 밖으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1969년 3월 아폴로 9호 비행사들은 최초로 두 명이 우주선 바깥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듀얼 우주유영(EVA·Extravehicular activity)을 진행했다. 두 명 이상이 동시에 우주선 바깥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달 착륙에 꼭 필요한 기술이었다. ▲데이비드 스콧이 사령선의 해치를 열어 젖힌 채 서 있다(왼쪽 ...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존재할 수 있다. 이 입자가 마침 약한 상호작용을 한다면 윔프가 될 자격이 충분하다. 그밖에 액시온(Axion)과 비활성 중성미자(Sterile neutrino)도 암흑물질의 유력한 후보로 점쳐진다. 액시온은 윔프보다 가볍지만 윔프와 마찬가지로 속도가 아주 느리다. 이런 성질은 액시온이 강한 중력원이 될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훗날 지구형 행성과 가스형 행성을 구분하는 기준선(동결선)이 됐다. 온도에 따라 안과 밖으로 분리된 물질들은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 10km에 이르는 미행성으로 자라났고, 미행성들은 다시 작은 천체를 빨아들이며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cm 정도씩 지름이 커졌다. 수없는 미행성들의 충돌 끝에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