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유클리드의 5번째 통념 ‘전체는 부분보다 크다’를 부정했기 때문이다. 칸토어를 지지한 남자 힐베르트모두가 칸토어를 비난할 때, 칸토어의 수학적 아이디어에 푹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수학자가 하나 있었으니, 20세기 최고의 수학자로 평가받는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다.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뼈보다 치아가 유리하다. 치아는 보통 8~12세에 발달한 뒤, 더 이상 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즉 유년시절에 먹었던 음식물에 대한 기록이 치아에 온전히 남는다는 의미다. 반면, 뼈는 일생동안 재생되기 때문에 치아에 비해 동위원소비가 변할 가능성이 더 크다.샘플이 확보되면 초산을 이용해 오염된 ... ...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곽 교수는 “리그닌은 일종의 울타리를 만들어 세포벽 분해효소가 주변의 다른 세포로 퍼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며 “꽃잎이 식물 본체로부터 정확한 위치에서 떨어지도록 해 잔존세포의 손상이나 이로 인한 식물체의 세균 감염 위험 등을 줄인다”고 설명했다.곽 교수가 이끄는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직여요.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얼마든지 있다. 정 센터장은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건축 분야에서 연구하면서 이뤄지지 않을 것 같던 상상이 실현되는 것을 많이 봐왔다”며, “불가능한 생각을 가능한 것으로 바꿔보겠다는 도전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 ...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위대한 수학자지만, 적어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만신창이가 된 오일러가 가엾게 느껴지지 않는다면 당신도 반례를 찾아 오일러에게 도전하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Part 2. 2의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문의로 바쁩니다.개에게 왜 소음공포증이 나타나는 걸까요?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미국 포틀랜드주립대에서 개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하는 멜라니 장 박사의 연구 결과, 개 중에서도 특정 혈통에서 더욱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즉, 유전적인 소인이 뚜렷하다는 뜻입니다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것이다. 안정동위원소와 달리 희귀동위원소는 아직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암 치료에 주로 활용되는 탄소의 경우 탄소-12나 탄소-13이 안정동위원소다. 일본은 희귀동위원소의 영향을 세포 수준에서 검증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가속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 ...
- 수학공부, 이걸로 끝낸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리는 없다. 그래도 가끔 이렇게 재미있는 방식으로 공부하면 수학이 더 친근하게 느껴지지 않을까? 형돈이와 대준이에게 곱셈공식에 관해알려준 EBS 대표 수학 강사 이하영 선생님. ▶엉뚱한 답변의 연속으로 여간 고생한 게 아니라고 한다. 과연 이 난관을 극복하고 수업을 잘 마쳤을까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해 봐야 정할 수 있는 것들이다. 북한의 도로는 전력 수급 문제로 가로등이 제대로 켜지지 않고 길 안내 표지판도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위원은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된 가로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 악천후 상황에서도 멀리까지 빛을 방출하는 조명을 SOC실증연구센터에서 실험할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