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8 수학문화축전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카프라 가족경연대회 등 놓칠 수 없는 이벤트가 준비돼 있죠. 벌써 행복한 5월이 그려
지지
않나요?그럼 이번 달은 수학에 대한 편견을 접고 ‘해피매스’하세요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꼽힌다. 국제 사회에서 북한의 입지가 좁아지면서 식량 원조가 줄어든 탓에 상황이 나아
지지
않고 있다. 2015년 기준 북한의 곡물자급률은 70~80%에 이른다. 1960년대 90%였던 남한의 곡물자급률은 현재 24% 수준이다. 그간 김일성 정권은 옥수수, 김정일 정권은 감자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 ...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약 10%가 여기서 나온다. 하지만 현재까지 키루나형 매립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밝혀
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철분이 풍부한 광석과 화산 퇴적물 등을 섞은 뒤 1000도, 1000기압의 고온고압 상태를 만들어 실험실에서 마그마방을 재현했다. 여기서 생성된 마그마의 상태를 분석한 연구진은 마그마가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 두 단백질 사이의 연결고리는 밝혀
지지
않았다. 랜들 베이트먼 미국 워싱턴대 의대 신경과 교수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환자를 조사해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뉴런’ 3월 21일자에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발견합니다.doi:10.1038/nature09819 혹스 유전자 집단의 가장 끄트머리에 있는, 그동안 밝혀
지지
않은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낮추면 유전자 집단의 뒷 부분에 위치한 혹스 유전자들(HoxA 11과 HoxA 13)이 제대로 발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요. 닭의 배아의 경우에는 몸통에서 먼 쪽에 있는 날개뼈들이 제대로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그에게 강연 요청은 끊이지 않았지만 우주인 고유 임무와 관련한 후속 연구는 거의 이뤄
지지
않았다. ‘한국형 유인우주프로그램 개발’ ‘미세중력 활용 우주실험 지상연구’ 등 관련 프로젝트들도 2012년 대부분 종료됐다.이 씨는 2012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휴직하고 돌연 미국 버클리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테슬라의 자율주행모드인 오토파일럿(autopilot) 상태였고,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 두 사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우버와 테슬라에 적용된 자율주행모드가 레벨2에 불과해, 운전의 주도권이 여전히 운전자에게 있었다고 지적한다. 미국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따라서는 충돌하는 두 스톤이 위의 당구공 충돌처럼 언제나 동일한 충돌 면적을 가
지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스톤과 스톤이 어느 정도의 두께로 충돌하는가에 따라 스톤과 스톤 사이에서 전달되는 운동량이 달라진다. 스톤과 스톤이 두껍게 충돌할수록 많은 양의 운동량이 전달되며, 반대로 ... ...
[과학뉴스] 여왕벌에게 더욱 특별한 ‘로열젤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할레비텐베르크대 분자생태학과 연구원팀은 로열젤리가 어떻게 여왕벌 애벌레가 떨어
지지
않도록 끈끈하게 붙잡고 있는지 실험으로 알아냈다. 로열젤리의 산성도는 pH4 정도다. 이를 pH5 이상으로 조정해 산성도를 낮추자 점성이 거의 없어졌다. 부츠테트 연구원은 “로열젤리의 주요 단백질인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약 26도 이하의 차가움이 느껴진다. 압력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아니어서 통증은 느껴
지지
않는다. 멘톨 분자는 마늘이나 고추냉이를 먹었을 때 활성화하는 TRPA1에도 붙는다. 그래서 박하를 먹으면 마늘이나 고추냉이 보다 훨씬 시원하게 느껴진다. 또 멘톨 분자가 물에 잘 녹지 않아 청량감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