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d라이브러리
"
다른점
"(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유클리드(Euclid)기하학은 우리가 중고등학교 수학시간 때 배운 기하학이다. 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비유클리드기하학은 곡면의 기하학으로 알려져 있다.알다시피 기하학은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렇다면 맨먼저 그 도형이 놓인 공간의 성격이 규정 돼야 한다. 기하학은 공간관을 전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지질시대 구분은 부인할 수 없는 진화의 증거다. 창조론은 과학이 아니라는데 문제가 있고 진화론에는 흥미있는 과제가 많다는데 문제가 있다. -진화론측 입장'과학동아' 7월호에 실린 '진화냐? 창조냐? '라는 논쟁기사는 그동안 국내에서 논란돼 왔던 내용들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반가웠고 문제의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실제 관측을 통한 천문학 학습방법이 천문현상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첩경임을 깨닫고…지난 5월 18일, 19일 이틀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KAAS, The 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는 경기도 가평 소재 제1관측소에서 지구과학교과교육연구회 소속 중고등학교 교사 18명과 함께 제1차 교사 연수회를 ... ...
우주선의 무중량상태 실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폐광된 탄광의 수직갱을 자유낙하실험장치로 활용하는 시설이 최근 일본에서 완성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과학아사히' 최근호에 따르면 이 장치는 북해도에 있던 미쓰이(三井)석탄광업의 못쓰게 된 수직갱(길이 7백10m)에 캡슐을 낙하시키는 것이다. 이 장치는 지난 5월부터 시운전에 들어가 7월부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기 매머드 디마는 왜 해성층이 아닌 육성층에서 발견됐을까?" - 진화론자가 창조론자에게 던지는 10문과 그 10답1 동물의 배(胚)발생과정을 비교해 보면 매우 비슷한 점에 놀라게 된다. 원시적인 동물이 필요로 하는 것이 고등동물의 발생과정에서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발생 후기에는 사라지거나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독일에서 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은 방학을 이용해 총 26주의 공장실습과정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지금 유학 현장에서는'이라는 제목의 글을 '과학동아'로부터 부탁받고난 뒤의 몇 주는 이제 근 6년에 접어드는 나의 독일 유학생활을 다시 한번 정돈해보는 기회가 되었다.유학이 소수의 선택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최근 일본과 필리핀에서 숨쉴 사이 없이 터져 나오는 화산분출. 기후학자들은 화산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내려고 벼르고 있다.1980년대 초의 어떤 저녁 해질 무렵. 수평선을 바라보다 평상시의 붉은 빛 대신 보랏빛 놀을 본 많은 멕시코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감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한마디로 VTR과 텔레비전의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전자스틸카메라는 점차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필름이 필요없는 새로운 세대의 카메라가 처음 개발된지 벌써 10년을 맞이했다. 당초 이 카메라가 선을 보였을 때는 종래의 이른바 은염(銀鹽)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비하면 값이 너무 비싸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노르웨이 트론드하임대학의 두 물리학자인 T.오버가드와 E.오스트가드씨는 물질을 형성하는 기본입자인 쿼크를 찾고 있다.일반적으로 물질은 밀도가 과히 높지 않다. 예를 들어 물은 1cc에 1그램의 밀도를 가졌다. 이는 원자의 가장 밀도 높은 부분인 중심의 양성자가 다른 양성자들로부터 전자들에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한반도에선 폭발할 기미가 없다지만일본 운젠화산,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 지난 6월 태평양 지역을 연이어 강타한 화산폭발은 인류에게 '살아 꿈틀거리는 지구'의 생명력을 무섭게 확인시켰다. 잠들어있던 화산은 언제 깨어나는가? 한반도는 화산의 분노로부터 안전할까?동물 정도의 지능에서 벗어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