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d라이브러리
"
다른점
"(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남자조상은 아프리카 피그미족?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담은 이브와 동시대인으로 20만년전 아프리카에 살았다 줄리엣이 그녀의 짝 로미오를 찾고 신데렐라가 왕자님을 만났던 것처럼 이제 이브는 그간의 독수공방을 청산하고 마침내 아담을 만나게 됐다. 아담의 나이는 이브와 같으며 그 뿌리 역시 이브와 같은 아프리카인이다. 아담에게 좀 아쉬운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88년 제5차 교육과정 개정이후 컴퓨터는 정규교과목에 삽입되고 96년까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16비트 컴퓨터가 보급되기로 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다.오진석-바쁘신 중에 여러 선생님들께서 참석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 논의할 주제는 학교컴퓨터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우리 생활 주변에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원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시공간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을 괴롭히는 각종 소음원을 살펴보자.소음이란 '원하지 않은 소리' 또는 '없는 편이 더 나은 소리' 등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소음은 원하지 않는 소리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우리 인간이 만들어낸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씹는 멀미약, 붙이는 멀미약을 비롯해 각종 멀미약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이런 약들을 먹지 않고 멀미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우주멀미는 심한 탈력감과 허탈감을 일으키고 아침에 일어나면 머리 뒤쪽, 특히 눈 뒤쪽이 마비된 듯한 느낌을 줍니다. 또 위속에 있는 것이 모두 튀어나을 것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DNA와 단백질은 상호의존적인데 어떻게 동시에 우연히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나?" - 창조론자가 진화론자에게 던지는 10문 그 10답1 열역학 제1법칙은 우주의 에너지 총량은 항상 일정하며, 창조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진화론에서 주장하듯 오랜 시간이 주어진다면 저절로 창조주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8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한 각국의 컴퓨터교육은 컴퓨터문맹탈피, 정보사회의 대응이란 측면에서 컴퓨터를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이제 우리나라도 컴퓨터교육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컴퓨터교육은 지금부터 우리가 방향을 잡고 만들어가야 할 역사다. 여기서는 컴퓨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다윈의 진화론은 처음에는 몇가지 의문이 제기됐으나 그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문제점이 보강되면서 과학적 사실로 인정됐다. - 진화론의 입장지구상에 생존하는 모든 생물은 일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오랜 세월에 걸쳐 계속 진화한다는 사상은 기원전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로부터 비롯됐다. ... ...
가축의 전염병이 야생동물에게 전파돼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코뿔소보다 더 수가 줄어든 들개에게 집개용 광견병 예방백신을 접종해 보았으나… 두해 전 여름 아프리카 케냐에서의 일이다. 병든 22마리의 아프리카 들개가 서로 치열하게 공격하고 있었다. 이들은 하나씩 죽어가기 시작했다. 한 골골한 수컷이 한살바기 들개를 맹렬하게 물어뜯는 끔찍한 장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6월 뱀주인자리는 구상성단 밀집지역. 망원경을 이용해 우리 은하 바깥쪽에 널려있는 별 집단을 관측해보자.여름은 구상성단들을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다. 어둠속으로 황혼이 사라질 때의 6월 밤하늘에는 처녀자리 은하들이 서쪽 하늘에 걸려있고 은하수가 동쪽에서 떠오른다. 남동쪽 하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게이지 이론'과 '매혹입자'로 소립자물리학연구의 선두에 서있던 이휘소박사는 77년 6월16일 급작스런 자동차사고로 사망했는데…1977년 6월18일 중앙일보는 다음과 같은 기사를 싣고 있다. '소립자물리학의 현대이론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한 한국 출신의 이론물리학자 벤자민 리 박사(42)가 16일 일리 ... ...
이전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