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수고했어, 로제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2004년 3월, 유럽우주국이 쏘아올린 탐사선으로, 65억km의 먼 거리를 10년 동안 날아서 2014년에 67P 혜성에 도착했어요. 도착 직후 무인탐사로봇 ‘필래’를 67P 혜성 표면에 내려 보냈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늘에 떨어진 필래는 태양에너지를 받지 못해 20시간 만에 수명을 다했지요.필래의 실패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배 이상으로 커지는 ‘공진’이 일어나 건물이 더욱 심하게 흔들릴 수 있어요. 실제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도쿄의 30층 이상 고층건물의 최고층은 1m 이상 흔들렸답니다.* 고유진동수 : 고체나 액체가 갖고 있는 원래의 진동수. 물체가 단단할수록 진동수가 크다. 대지진 당시, 도쿄의 30층 ... ...
- 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따르릉~! 자전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그러니 분명 나에게 딱 맞는 자전거도 있을 거야. 나 지금 착륙한다아아~![* E.T. : 1984년에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로 외계인과 지구 어린이의 우정을 그렸다. E.T.는 지구 밖 외계 생명체를 뜻하는 The Extra- Terrestrial의 줄임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 ...
- Part 1. 왜 주목 받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건강에도 도움이 돼요. 1년간 자동차 대신 매일 1시간, 20km씩 자전거를 타면 이산화탄소를 132kg이나 줄여서 소나무 26.4그루를 심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해요.게다가 102만 2000원의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지요. 또 비만과 심장병이나 당뇨병의 ... ...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도난이 2014년에는 2만 2000건을 넘었어요. 불과 4년 사이에 6배가 넘게 늘어난 거죠. 청소년과 성인 1,02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자전거 이용자의 53%가 자전거를 도난당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어요.하지만 스마트 자전거라면 걱정이 없답니다. 자전거가 이동을 감지하고, 자신의 위치를 알려 ... ...
- [과학뉴스] 꼭꼭 숨어라~, 공룡 보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결과를 발표했어요. 컷힐 교수팀이 연구한 공룡은 프시타코사우루스로, 약 1억 2000만 년 전에 아시아에 살았던 초식공룡이에요.연구팀은 프시타코사우루스의 화석에 남아 있는 검은색 반점의 분포에 주목했어요. 피부에 있던 검은색 반점이 화석이 되는 과정에서 돌에 남게 된 거죠. 연구 결과, 빛을 ... ...
- [창간 12주년 인터뷰] 리틀 뉴턴 이끄는 열혈 과학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평생 계약했대요. 이 친구들이 졸업해도 계속 연락하며 멘토 역할을 해 주고 싶어요. 내년부터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열심히 해 보려고요. 민물고기 외에도 개구리, 제비, 매미 등 다양한 생명을 지키고 연구자의 과학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는 경험을 아이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서식굴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엄청난 크기일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그리고 작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서식굴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어요. 우리나라 갯벌 10곳에서 사는 대표적인 생물 21종의 서식굴의 본을 뜨는 데 성공했지요.서식굴의 본을 뜨려면 우선 플라스틱을 녹여 액체로 만든 액상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모든 분자구조 연구실에서 쓰고 있을 만큼 대중적인 프로그램이 됐답니다. 그리고 매년 새로운 버전이 나오면서 우리에게 세포 속 물질들과 몸 속의 여러 생명반응을 하나하나 보여 주고 있어요. 결국 컴퓨터 프로그램과 코딩 덕분에 직접 물질을 다루거나 골치 아픈 식과 머리싸움을 하지 않더라도, ... ...
- [과학뉴스] 콜레라에 취약한 혈액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좌우하는 것 중 하나가 혈액형이랍니다. O형이 콜레라에 가장 취약한데, 이 사실은 1970년대부터 알려져 있었어요. 그 이유가 최근에서야 밝혀졌답니다.노르웨이 오슬로대 연구팀은 X선 회절법을 이용해 혈액형 별로 콜레라균과 얼마나 잘 결합하는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O형이 콜레라균과 가장 잘 ... ...
이전730731732733734735736737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