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가벼운 건물은 적게 흔들리지요. 따라서 가벼운 나무로 지은 건물의 피해가 적답니다.2009
년
일본에서는 6층짜리 나무 아파트로 지진 실험을 진행했어요. 거대한 진동판 위에 아파트를 올려놓고, 실제 지진이 난 것처럼 40초 동안 마구 흔들었지요. 이때 충격은 규모 6.5~7.3의 지진과 같은 세기였어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스토리 따라잡기국지성 호우의 정체를 밝혀라!“교장선생님이 자기 방을 뒤지라고 하셨다고?”가장 먼저 정신을 차린 것은 지원군 선배였어요. 날카로운 ... 않으면 앞으로도 계속 기상이변이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답니다.*평
년
온도 : 1981
년
부터 30
년
간 측정한 온도를 평균낸 값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갖고 있어요. 멸종 위기에 처한 중국 양쯔강 돌고래와 같은 종으로 분류되지요.그런데 2015
년
고래연구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상괭이도 양쯔강 돌고래처럼 앞으로 찾아보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해요. 2005
년
3만 6000여 마리였던 상괭이가 2011
년
조사에서 약 70% 가까이 줄어든 걸로 나타났기 ... ...
Part 3.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그리고 상괭이 수가 줄어든 주요 원인으로 ‘혼획’을 꼽았답니다. 2011
년
부터 2015
년
까지 혼획되거나 그물에 걸렸다가 해안가로 떠밀려온 상괭이가 한해 평균 1000마리 이상이었거든요.혼획은 특정 어류를 잡기 위해 친 그물에 엉뚱한 종이 걸리는 것을 뜻해요. 물고기를 잡을 때 쓰는 그물은 다른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펴낼 계획이랍니다. 상괭이를 살리는 ‘상괭이 병원’부산 아쿠아리움에서는 2011
년
부터 다친 상괭이를 치료하는 ‘상괭이 병원’을 운영하고 있어요. 2011
년
누리와 마루, 2013
년
바다와 동백, 2014
년
오월이까지 모두 5마리의 상괭이가 상괭이 병원을 거쳐 바다로 돌아갔어요.다섯 마리의 상괭이 중 네 .. ...
[과학뉴스] 태양빛으로 세계일주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015
년
3월 9일, 스위스의 공학자 앙드레 보쉬베르와 조종사 베르트랑 피카르는 거대한 도전을 시작했어요. 직접 만든 태양광 비행기 ‘솔라 임펄스 2호’로 석유나 가스 같은 화석연료를 한 방울도 쓰지 않고 세계 일주를 하는 것이었지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를 떠난 솔라 임펄스 2호는 1
년
4개월에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30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1.5MB(메가바이트) 크기의 정보를 담기 위해 손바닥만 한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했어요. 지금은 손톱 크기의 칩에 플로피 디스크 용량의 수만 배나 되는 정보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요.그런데 최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샌더 오뜨 박사팀이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심판, 왜 오심을 하는 걸까?2008
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테니스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가장 최근 공개된 중력장 지도를 만든 인공위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2002
년
우주로 쏘아올린 ‘그레이스(GRACE)’와 ‘챔프(CHAMP)’라는 쌍둥이 위성이에요. 두 위성은 고도 450km 상공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아요. 그러다 지구의 중력이 달라지는 지역을 지나면 두 위성이 멀어지거나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소리를 0.1초나 늦게 듣게 되기 때문에 공평하지 않았지요.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2010
년
밴쿠버올림픽부터는 디지털 스타팅 건을 사용하고 있어요. 스타팅 건을 누르면 각각의 선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로 출발을 알리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이 공평하게 출발 신호를 들을 수 있지요. ... ...
이전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