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회사가 정해진 버스 노선의 시간표를 모두 운행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버스 수를 구할
때
도 그래프 색칠 문제로 바꿔 문제를 해결합니다.이처럼 그래프 이론에는 실생활에 유용한 문제가 많지만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 또한 많지요. 여러분도 한 번 자기만의 생각을 가지고 시도해 보세요.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실제로 많이 있었습니다. 특히 정치권에서 대통령이 나랏일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물을
때
조사 기관의 성향에 따라 입맛에 맞게 보기를 만들곤 합니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이런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났지요. 지금은 중간항목을 반드시 포함한 5점 척도와 3점 척도를 설문조사의 표준으로 삼고 ... ...
[소프트웨어] 클릭 클릭! 소수 판별 게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만난 또 다른 예는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를 찾는 일입니다. 소수는 무한히 많기
때
문에 가장 큰 소수라는 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그렇게 부르지요. 현재까지 발견된 소수 중 가장 큰 수는 257885161-1로 무려 1740만 자리입니다. 36만 개의 컴퓨터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측정해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미세한 부분의 길이도 모두 재야 되니까 긴 자로 잴
때
보다 총 길이도 더 길게 나오게 되겠지.”“알겠어요. 음, 해안선 말고는 또 없나요?”“또 있지. 나무 가지가 그냥 마구잡이로 뻗어 있는 거라고 생각하면 안 돼. 이 속에도 일정한 규칙이 있어. 가장 큰 가지와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강한 포식자로 군림했던 공룡이에요. 백악기의 가장 마지막 지층에서도 화석이 나오기
때
문에 소행성이 충돌하지 않았다면 그 후에도 번성했을 가능성이 높지요.티렉스는 짧은 앞다리 대신 머리를 이용해 먹잇감을 사냥했어요. 티렉스의 똥화석에는 초식공룡의 자잘한 뼛조각이 수도 없이 들어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위한 정원화를 심어달라고 제안하기도 했답니다. 그 결과 앞으로 정원화를 심을
때
꿀벌도 고려하겠다는 답변을 받기도 했고요.엄재윤 : 저는 원래 꿀벌을 무서워했는데, 더 이상 무서워하지 않게 됐어요. 또 도심에도 꿀벌이 많이 살고 있단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민욱이 형과 함께 서울 근교에서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얼마 전, 집에서 가래떡을 구워 꿀에 찍어 먹었어요. 그런데 엄마가 그건 꿀이 아니라 조청이었대요.둘의 차이점이 뭐죠? 헷갈리나가 알려 주세요! _김 ... 할 정도로 재료도 많이 들지요. 하지만 옛날에는 꿀이 귀했기
때
문에 떡이나 과자를 먹을
때
는 주로 꿀 대신 조청을 찍어 먹었답니다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시즌3]‘순대렐라’의 유리구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신사는 모습을 감추고 목소리만 들려오는데….“오호~, 정말 대단하군. 하지만 끝날
때
까지 끝난 게 아니지. 이 금고는 매번 다르게 주어지는 문제를 풀어야만 열 수 있다고. 유리구두를 꺼내고 싶다면 단 한 번에 문제를 풀어야 할 거야. 하하!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진짜 신데렐라는 어디에?모든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편이….”“지금 괜히 갔다가 두 배로 주워 오라고 할 걸? 내가 널 구해 준 거라고!”그
때
뒤에서 부스럭 소리와 함께 검은 눈썹의 선생님이 눈을 희번득거리며 나타났어요.“찾았다! 너희들, 토양을 지키는 신성한 활동을 하지 않고 땡땡이를 치고 있었단 말이지? 흙이 얼마나 위대한 과정을 거쳐 ... ...
[Editor’s Note] 고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한 주가 넘게 이어진 한파와 가장 좋은 잡지를 만들려고 하는 기자들의 노고가 충돌하며
때
아닌 장마전선을 만들었다. 여름 장마는 뜨겁고 축축한 무거운 비를 만들지만, 편집부 기자들과 디자이너들이 만든 겨울 장마는 차고 부드러우며 뜨겁고 단단한, 복잡한 풍미를 자아내는 한 권의 잡지를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