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클릭 클릭! 소수 판별 게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만난 또 다른 예는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를 찾는 일입니다. 소수는 무한히 많기
때
문에 가장 큰 소수라는 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그렇게 부르지요. 현재까지 발견된 소수 중 가장 큰 수는 257885161-1로 무려 1740만 자리입니다. 36만 개의 컴퓨터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측정해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미세한 부분의 길이도 모두 재야 되니까 긴 자로 잴
때
보다 총 길이도 더 길게 나오게 되겠지.”“알겠어요. 음, 해안선 말고는 또 없나요?”“또 있지. 나무 가지가 그냥 마구잡이로 뻗어 있는 거라고 생각하면 안 돼. 이 속에도 일정한 규칙이 있어. 가장 큰 가지와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안녕! 나는 어과동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야. 다들 무시무시한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 들어본 적 있겠지? 전염성도 강하고 치사율도 높은 공포의 바이러스지.그런데 이 에볼 ... 노력 중이랍니다.닥터 그랜마도 저와 함께 교수님을 도와 에볼라 바이러스를 무찌르는 게 어
때
요?만화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위한 정원화를 심어달라고 제안하기도 했답니다. 그 결과 앞으로 정원화를 심을
때
꿀벌도 고려하겠다는 답변을 받기도 했고요.엄재윤 : 저는 원래 꿀벌을 무서워했는데, 더 이상 무서워하지 않게 됐어요. 또 도심에도 꿀벌이 많이 살고 있단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민욱이 형과 함께 서울 근교에서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얼마 전, 집에서 가래떡을 구워 꿀에 찍어 먹었어요. 그런데 엄마가 그건 꿀이 아니라 조청이었대요.둘의 차이점이 뭐죠? 헷갈리나가 알려 주세요! _김 ... 할 정도로 재료도 많이 들지요. 하지만 옛날에는 꿀이 귀했기
때
문에 떡이나 과자를 먹을
때
는 주로 꿀 대신 조청을 찍어 먹었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편이….”“지금 괜히 갔다가 두 배로 주워 오라고 할 걸? 내가 널 구해 준 거라고!”그
때
뒤에서 부스럭 소리와 함께 검은 눈썹의 선생님이 눈을 희번득거리며 나타났어요.“찾았다! 너희들, 토양을 지키는 신성한 활동을 하지 않고 땡땡이를 치고 있었단 말이지? 흙이 얼마나 위대한 과정을 거쳐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 라이프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해외를 여행할
때
모르는 길을 친절하게 가르쳐주는 외국인이 있으면 그 나라 전체에 대한 인상이 좋아지곤 한다. 여기에 과학적 근거가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스위스 취리히대 그릿 하인 교수팀은 한 개인과 좋은 경험이 있으면, 그 사람이 속한 ... ...
[News & Issue] 움직이지 마! 투명새우 보일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이용해 말미잘 새우의 혈액 흐름을 관찰했다. 그 결과 정지해 있던 새우가 움직일
때
마다 주 혈관에 흐르는 혈액의 양이 증가하고, 이것이 투명한 근육섬유 사이에 있는 미세혈관으로 흘러들어가 근육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얼음보다 빛 굴절률이 낮은 눈이 불투명한 흰색으로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적합(?)했는지 모른다. 당시에는 환자들을 격리해 놓는 것 외에 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기
때
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환자들에게 약을 복용시켜 증상을 누그러뜨리고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한국에는 아직 이런 작가들이 없다. 스위스의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물질이다). 비누가
때
에 달라붙듯 시약의 소수성기가 지문의 지질성분에 달라붙는다. 이
때
소수성기의 반대편인 친수성기에 붙은 미립자를 통해 지문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시약들은 물에 잠긴 지 5~7일이 지난 지문부터 검출능력이 현저히 떨어졌지만 SPR은 15일이 지난 지문도 선명히 검출할 수 ... ...
이전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