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HDTV열풍, 일본열도를 강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무튼 일본의 전자업체는 HDTV라는 노다지를 캐기 위해 한편으로는 제품개발 연구에
분
주하고 한편으로는 줄기찬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 예로 NEC사는 전원풍경을 담은 HDTV전용비디오와 영화를 제작, 국제전자영화제에 출품하기도 했다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공동연구 책임기관 없다사회-지금까지의 얘기로 보아 교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분
들이 공감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이제 어떻게 교류를 실현해 나갈 것인지 그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박규택-사실 남북간의 교류 필요성이 아무리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반사망원경이 설치될 예정이며, 세종대에는 이미 30인치 반사망원경을 들여왔으나 학내
분
규 때문에 상자속에서 썩고 있는 실정.서울대 천문학과 이시우교수는 "국립대학에서 20인치 이상은 처음이며 이는 전문 연구용으로 손색이 없는 시스템"이라며 "1년에 최소 2천만원 이상 드는 운영경비를 ... ...
활용
분
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이용, 최첨단 공장으로부터 민생
분
야까지 광범위하게 이용가능한 폐쇄형 또는 개방형의 공기청정장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현재 거론되고 있는 0.1μ의 입자를 대상으로 클래스 10 이하인 슈퍼클린룸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어장치의 청정화 △무인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다. 우주가 탄생한 뒤 ${10}^{-4}$초에서 1초동안에 양성자 중성자 전자 등이 생겨나며 3
분
이 지나면 양성자나 중성자가 뭉쳐 헬륨을 이룬다.수리끈이론은 우주의 생성과정과 현재를 이해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많은 이론물리학자는 믿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실험물리학자는 직접적인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생긴 성비의 불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
자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개척돼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태아의 성감별이 자연의 섭리를 깨는 자료로 활용된다면 이러한 일은 법의 힘으로라도 강하게 막아야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輿地圖)가 많이 참고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다 설명되지 않는다.
분
명히 서유럽에 대해 가장 많은 것을 담고 있는 아라비아지도학의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 특히 아라비아 유럽 아프리카의 해안선과 지명에 대한 지리학적 지식은 아랍 자료에서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지도에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환산해주기 때문이다. 자료가 입력되면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주역을 풀이하여 30
분
동안 무려 20페이지에 달하는 개인의 운세를 뽑아 준다. 출력내용에는 우선 주역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개인의 연령별 활동력(氣)의 크기, 연령별 평생운세, 그 해의 운세와 매달 운세가 자세하게 기록돼 있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것은 북경에 있는 BEPC가속기건설부터입니다. 그만큼 가속기
분
야는 국제협력이 원활한
분
야입니다."PLS가속기연구소장 이동녕박사의 말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미국과 중국의 외교는 '핑퐁외교'로 알려져 있지만 실질적인 내용은 '가속기외교'라는 것이다.그러나 최근의 상황은 조금 바뀌고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내용 변화도 없이 이름만으로 수험생을 끌어모으려 한다는 비판이나 지나친 세
분
화로 시야가 좁은 공학도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는 이런 현실에 기인한 것이다.결국 첨단학과의 선택은 단순히 취업전망이 좋다는 이유만으론 부족하며 자신의 적성과 의지가 결합돼야 한다. 또 입학 이후에도 기초 ... ...
이전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