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줄기와 잎’이라는 용어를 쓰거든요.어느 반에서 체육
시간
에 윗몸일으키기 검사를 했다고 해요. 30명이나 되는 학생의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그저 나열해두면 복잡할 뿐 별다른 의미를 찾을 수 없겠지요. 하지만 세로줄에 해당하는 ‘줄기’를 0, 10, 20, 30 등으로 분류한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길을 찾을 수 있지요. 하지만 단점도 있어요. 복잡한 미로의 경우 그래프 그리는
시간
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점이에요. 하지만 길은 반드시 찾을 수 있답니다.그래프 가치는 무궁무진합니다. 미로와도 같은 지하철 노선이나 버스 노선을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쉽게 그릴 수 있고 인터넷망, 전화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겁니다. 따라서 거울 나라에서는 이 공식이 다음과 같이 반대가 된답니다.그러면 거리는
시간
나누기 속도가 되지요. 속도가 분모이므로 속도가 빠를수록 움직인 거리는 작아지고 속도가 작을수록 움직인 거리가 커집니다. 이제 붉은 여왕의 말이 이해가 되지요? 작가인 캐럴은 거울 나라에서는 ... ...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현상을 나타내는 공식을 많이 사용하는 과학에서 방정식은 매우 자주 쓰인다. 사실 과학
시간
에 배우는 거의 모든 공식이 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몇 가지 문제의 예를 보자.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지구의 중력과 달의 중력 사이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둘의 관계는 교과서 본문에서 설명하고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을 검증하는 동물실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약효가 복용
시간
대에 따라 다르다면 주행성 동물인 인간이 복용할 약을 야행성 동물인 생쥐에 투여시켜 그 효과를 제대로 알 수 있겠느냐는 주장이다.그런데 생명체가 굳이 생체시계를 마련해 스스로 행동을 제약하는 ... ...
내면의 조율사,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야기를 들려주고 일기를 쓰게 하면 아이들이 스스로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간
을 갖게 된다. 그런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아이들은 자기를 돌아보는 힘을 얻지 못하고 결국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어른으로 성장한다. 좌측하부 전두대뇌피질 인간의 대뇌피질은 크게 5개의 엽(lobe)으로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생활하던 때를 돌이켜보면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힘껏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
이었다. 지금도 물리전자연구실을 떠올리면, 화이트보드를 가득 채우며 진지하게 토론하던 선후배들과 박영준 교수의 모습이 그려진다. 공식적인 정례 미팅 외에도 수시로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이러한 과정이 ... ...
심층면접과 과학캠프 중점 대비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입시 전형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과학창의성전형의 과학캠프다. 과학캠프는 장
시간
동안 학생을 직접 관찰해 선발하는 방식으로, 1박 2일 이상의 기간 동안 입체적·다면적으로 평가한다. 과제 하나당 3~4
시간
정도 개인 또는 팀이 활동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조합해 진행될 전망이다. 1박 2일의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레이저 빔 그래프를 그렸다. 인류의 첫 레이저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비록 그 발광
시간
은 200만 분의 1~300만 분의 1초 정도로 지극히 짧았지만 출력은 약 1만W에 달했다. 레이저에 대한 언론의 반응은 다양했다. 그해 7월 7일 열린 기자회견장에서 메이먼이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레이저가 죽음의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때 일본에서 조선으로 고추가 전래됐다고 하기엔, 고추장과 김치가 이만큼 발달할
시간
적 여유가 없는 셈이다. 큰그림 보러가기권대영 박사는 이성우 교수의 주장을 반박하고 한국 고추의 올바른 역사를 찾기 위해 여러 근거들을 찾았다. 이 박사가 주요 근거로들었던 ‘지봉유설’을 살펴보면 ... ...
이전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