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길을 찾을 수 있지요. 하지만 단점도 있어요. 복잡한 미로의 경우 그래프 그리는
시간
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점이에요. 하지만 길은 반드시 찾을 수 있답니다.그래프 가치는 무궁무진합니다. 미로와도 같은 지하철 노선이나 버스 노선을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쉽게 그릴 수 있고 인터넷망, 전화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론을 그대로 따라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만 움직이며 길을 찾아 냅니다. 처음 가는 길은
시간
이 많이 걸리지만 반복해서 길을 가면 길 찾는 속도가 빨라지지요.참, 갑자기 생각났는데요. 컴퓨터 게임에서도 미로를 찾아볼 수 있어요. 악당을 물리치기 위해 미로로 된 동굴을 탐험하거나 보물을 찾기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14.4m마다 매듭을 지은 끈을 나무토막에 묶어 흘려보냈다. 당시 모래가 다 떨어지는
시간
이 28초였는데 그 동안 풀려나간 끈의 매듭수로 배의 속도를 측정한 것이다. 28초 동안 정확하게 매듭 하나만큼의 끈이 흘려나갔다면 속도는 1노트다. 이것을 시속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쓰고 있는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예문미술
시간
에 종이접기를 했어요. 저는 한
시간
내내 종이와 씨름한 끝에 4조각 난 사과 2개를 만들었어요. 수업이 끝나고 집에 가려는데 8조각의 사과를 들고갈 방법이 없었어요. 작품을 넣어갈 가방이나 봉지가 없었거든요. 그때 수학선생님께서 4조각의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연립 일차방정식을 다루었지만, 산학처럼 간편하게 계산하게 된 것은 상당한
시간
이 지난 뒤였습니다. 여러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한 ‘행렬’은 영국의 수학자 실베스터가 1848년에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지요. 이처럼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하는 방법은 수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레이저 빔 그래프를 그렸다. 인류의 첫 레이저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비록 그 발광
시간
은 200만 분의 1~300만 분의 1초 정도로 지극히 짧았지만 출력은 약 1만W에 달했다. 레이저에 대한 언론의 반응은 다양했다. 그해 7월 7일 열린 기자회견장에서 메이먼이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레이저가 죽음의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박사는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한 계기에 대해 묻자 북극곰의 겨울잠 얘기를 꺼냈다. 10
시간
가까이 비행기를 타고 지중해 인접국으로 날아가 중부의 학술도시 레호보트에 자리한 연구소를 직접 방문한 기자에게는 뜬금없는 소리처럼 들렸다. 한편으론 궁금증이 피어올라 머릿속에 가득 찼다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한 차례 더 발사할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
상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교과부는 나로호가 실패할 경우 최대 3번까지 동일 발사체를 쏠 수 있도록 러시아 측과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은 1단 로켓의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한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때 일본에서 조선으로 고추가 전래됐다고 하기엔, 고추장과 김치가 이만큼 발달할
시간
적 여유가 없는 셈이다. 큰그림 보러가기권대영 박사는 이성우 교수의 주장을 반박하고 한국 고추의 올바른 역사를 찾기 위해 여러 근거들을 찾았다. 이 박사가 주요 근거로들었던 ‘지봉유설’을 살펴보면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배려해달라고 얘기할 수 없다. 본분은 과학 연구인만큼 연구 외에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을 쪼개 글을 쓸 수밖에 없다”며 “결국 문제는 연구자의 의지와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설명한다.사이언스온이 어떤 모습으로 거듭날지는 매체 소유주가 아니라 여러 과학자들과 독자들의 손에 달려 있다. ... ...
이전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