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액체"(으)로 총 2,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큰 것 같습니다.Q 고동근(현대청운고) 원자로를 식히는 냉각재로 물 대신 나트륨과 같은 액체금속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원자로에서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이 중성자입니다. 중성자는 핵분열 후 초속 10만km가 넘는 속도로 튀어나오는데, 이 속도를 유지하면서 연쇄적으로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꽃이 생기를 잃고 새하얗게 얼어붙었다. 이 꽃 사진은 실제 얼음을 찍은 것이다. 액체 질소로 생체 조직을빠르게 얼리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꽃 모양으로 얼었다.] 한 폭의 겨울 동양화새벽 기운을 머금은 듯 푸르스름한 나무줄기와 산자락이 고요한 겨울 풍경을 빚어냈다. 한 폭의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이건 물이 수증기가 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다. 일단 한 번 기체가 된 후에는 다시 액체로 돌아오기 힘들다. 마찬가지로 한 번 생긴 정체현상은 자동차가 줄어들어도 쉽게 풀리지 않는다. 한번 바뀐 상태를 이전으로 다시 되돌리기 어려운 것도 상전이의 특징 중 하나다. 차가 도로를 가득 채우듯 ...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200°C 이상 더 뜨거웠다. 지금보다 훨씬 많은 광물이 마그마 상태로 녹아 있었다. 액체가 된 광물 중 가벼운 물질은 부력이 커 잘 뜨기 때문에 땅 위로 쉽게 빠져 나갔다. 뜨지 않고 남은 물질이 지각하부에 달라붙으면서 지각은 아래로 점점 두꺼워졌다.두꺼워진 지각은 맨틀에 비해 밀도가 낮아 맨틀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흘러나와 졸(sol)상태로 변했어.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고체 형태였던 젤 과립이 액체 형태인 졸 상태로 변하면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성질이 생긴 거지. 이렇게 졸 상태로 변한 과립들 때문에 바닥에서 훨씬 잘 미끄러지게 된 거야. 마치 스키를 탈 때 스키 바닥에 닿은 눈이 녹으면서 생긴 물 때문에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엄마가 옆에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고 해. 양수는 엄마의 자궁 속 태아를 보호하는 액체란다. 아기는 엄마의 모유 냄새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어. 다양한 모유를 묻힌 손수건에서 엄마의 모유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지.부모님도 우리를 냄새로 알아볼 수 있어. 그런데 그 능력은 엄마보다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대부분이 물이고,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 등이 섞여 있지. 이렇게 피 안에 들어 있는 액체성분을 혈장이라고 불러. 혈장은 영양소와 노폐물을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피 안에 있는 고체성분은 혈구라고 부르는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나뉘어. 고체성분 중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이야기를 들어볼게.안녕? 음식 속에 들어 있는 너는 누구니?나는 트랜스지방이에요. 액체인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넣어 고체로 만들 때 생기는 지방이지요. 식용유 같은 기름을 인위적으로 가공할 때 생기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튀김이나 마요네즈, 마가린, 팝콘, 빵이나 과자 등에서도 ...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만지지 않게 조심하고, 올바른 사용방법대로 사용해야 한다.02 화상불은 물론, 뜨거운 액체나 기체로도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데인 부분은 차가운 물로 안정시킨다. 물집이 생겼다면 깨끗한 수건으로 두른 다음 찬물에 넣는다.03 골절손가락 같은 부위가 부러지거나 잘릴 수 있다. 잘린 부위는 씻거나 ...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쓴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최동환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두 연료 모두 액체연료보다 상대적으로 안정한 고체연료기 때문에 단순히 연료를 바꿔 사고가 났을 가능성은 적다”며 “기계적 결함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버진 갤럭틱이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