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d라이브러리
"
학문
"(으)로 총 2,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무리 뛰어나도 글이나 말로 다른 사람에게 알리거나 설명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다.
학문
을 탐구하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걸 좋아하는 것이 이과 리더쉽이다. 즐길 줄 알아야 한다.“영어를 잘하거나 글을 잘 쓰거나 문학을 잘하는 것도 이과 상위권 학생들이 가져야 할 기본 ... ...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3 어디에 있어요?건축학은 인간의 생활에 꼭 필요한 의식주에서 ‘주(住)’에 해당하는
학문
이다. 때문에 건축학과는 세계 대부분의 대학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서울대 건축학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찍 설립된 건축교육기관이다. 건축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걸쳐 최고 수준의 교육과 연구가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구글 검색 결과와 득표율이 비슷했다. 이 밖에도 네트워크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학문
인 시스템생물학*이 탄생하기도 했다.독감이나 신종플루가 퍼질 때 학교에 나오지 못하게 하고, 손을 자주 씻게 한 것은 수학적 이유가 있다. 평소 활발한 인간관계를 자랑하는 마당발이라면 독감에 걸렸을 때 ... ...
우리 집이 달라졌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혼란스러워.”“좋아. 그럼 지금부터 내가 알고 있는 걸 설명해 줄게. 넌 수학이란
학문
이 몇 천년에 걸쳐 차근차근 발전을 이룬 세상에서 왔어. 수학은 모든 과학과 사회의 기본이지. 하지만 이 곳은 달라. 수학이 있긴 하지만, 수학 개념들이 뒤죽박죽 뒤섞여 멀쩡하다가도 금세 이상하게 변해 ... ...
수학으로 꿰뚫는 추리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그래프 이론은 여러 정보 중에서 알짜 정보만 골라, 각 정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학문
이다. 정보(점)들이 어떻게 연결(선) 되느냐에 따라 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홈즈는 모리아티 교수와 연관된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자신의 방 한쪽 벽면에 점을 찍어, 관련 자료를 모으고 있었다. 사건의 수가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는 매력도 있다. 특히 국민의 풍요와 안위를 우선시하는
학문
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소명의식이 있는 학생이라면 한번 도전할 만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요?대학원에 진학하면 위에서 설명한 각 ... ...
통합과학 - 혈액의 흐름을 통해 본 유체 흐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호흡이나 혈액 순환을 보면 관을 통해 기체나 액체가 흘러간다. 이와 같은 유체의 흐름을 연구하는
학문
이 유체역학이다. 인체는 필요에 따라 압력이나 저항을 변화시키면서 호흡속도, 혈류량을 적절히 조절한다. 인체의 순환계를 통해 인체의 생리적 조절에 적용되는 물리적 법칙을 이해해 보자.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출신이어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음에도 화학과에서 뽑아주지 않았던 것. 지금이야
학문
간 융합 시대이지만 당시만 해도 순혈(純血)주의가 뿌리 깊던 시절이었다.결국 그는 학부생만 있는 한국과학기술대 화학과에 취직했다. 한국과학기술대가 KAIST(당시에는 대학원 과정만 있었다)와 통합될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댐의 수문(水門)을 연구하는 줄 아는 사람도 많아요.”수문학은 생활과 가장 가까운
학문
이다. 우리 삶에 필수적인 물을 다루기 때문이다. 물이 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듯이, 물에 대한 연구 역시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해서는 필수다. ‘생활을 디자인하는 공학’인 셈이다.대표적인 분야가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그럼 지금부터 네 꿈을 이루는 길을 찾아보자. 네가 좋아하는
학문
이 생물학이잖아. 생물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 가서 특별한 연구를 하는 교수가 될 수도 있고, 생물학을 해서 아이들에게 즐거운 생물학을 가르치고 싶다면 사범대나 교대에 가면 돼. 공부하다 보니 동물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