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d라이브러리
"
학문
"(으)로 총 2,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자원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과학 과목인 물리와 화학, 생물에 대한 소양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고도의 기술과
학문
을 배우기 위한 기초에 해당하는 수학과 통계학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요?현재 서울대학교의 에너지자원공학관련 대학원은 크게 여섯 분야로 나뉜다. 물리 탐사,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많은 학생들이 두려워하는‘도형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호에서는‘도형의 성질’ 단원을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서울 반포중학교 임윤영 선생님을 찾 ... 것이 좋다고 추천해 주셨어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도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수
학문
제를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 ...
게임으로 수학 실력 겨룬다, 온라인수학게임대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상희 전 국립과천과학관장은“수학과 과학이 국가경쟁력의 척도인 만큼, 이 두
학문
에서 창의성 있는 인재가 많이 필요하다”며“디지털에 익숙한 학생들이 게임을 통해 수학에 흥미를 갖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아날로그 세대들이 학생들에게 과거의 방식을 그대로 강요한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거짓말할 때마다 코가 늘어나는 피노키오와 발 대신 램프와 연결된 꼬리(?)로 원하는 것은 다 만드는램프의 요정 지니. 애니메이션 속에 등장하는 ... 놓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래서 세상 속에는 겉과 속을 자연스럽게 넘나드는 유연한
학문
인‘위상기하학’이 더욱 필요한 것이 아닐까 ... ...
법정에 선 지진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진학자가 택한 가설이나 학설이 기존의 다수 견해와 다를 때는 어떨까요. 이 때도
학문
은 다양성 속에서 자유경쟁을 하며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그 본질이므로 ‘존중되는 소수(respectable minority)’의 법리 에 따라 지진학자들에게 법적인 책임을 묻기 어렵습니다.그럼 이번 사건에 더 집중해 ... ...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동현상특론, 반도체화학공정 등 반도체 전반에 대한 과목들이 개설돼 있어서 다른
학문
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현재의 연구 동향과 기업체에서 상용화 중인 최신 기술의 원리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앞서 갈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 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 ...
생명과학 - 생물과 무생물 사이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생명과학이란 생물권 안에서 생물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부터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와 그 안의 분자에 이르기까지 생물 속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이다. 이번 호에서는 생명체가 가진 특성에 대해 살펴보자.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쓰이는 곳이 없을 만큼 실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는데, 사람들은수학을 어렵고 재미없는
학문
으로 여기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일까. 수학과 음악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공연이 기자에겐 낯설지만은 않았다.추민희(선생님) 폴클랑 졸리스텐은 2006년 독일 유학파를 중심으로 결성됐어요. 처음에는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때 적극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싸움의 기술’이 필요하다. 이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이 면역학이다. 면역학은 지난 한 세기 동안 노벨 생리의학상을 무려 10회 가까이 배출할 정도로 중요하다.올해 노벨 생리의학상도 면역학계에서 나왔다. 룩셈부르크 출신인 율레스 호프만 프랑스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책상 서랍 속에 풀지 못한 수수께끼로 남은 채 들어 있을 것이다.준결정을 발견한 것은
학문
적으로 큰 성과일 뿐 아니라 연구자들에게 좋은 교훈을 남겼다. 연구를 하다가 기존 결과와 다른 결과를 얻더라도 그냥 지나치지 말고 오히려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준결정도 처음 발견했을 때는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