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
추세
새짐승
흐름
날짐승
형편
경향
뉴스
"
조류
"(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팽이관은 고음과 저음을 어떻게 구분하나
2015.03.10
베케시 박사는 이 구조를 처음 발견한 공로로 1961년 노벨 리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조류
의 청각기관 내 청각세포를 형광으로 염색한 모습. 달팽이관의 한쪽 끝에는 고주파를 인지하는 청각세포가, 반대쪽 끝에는 저주파를 감지하는 세포가 자리잡고 있다. - PNAS 제공 하지만 그후 50여 년이 지난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셀’의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6일자에 발표됐다. 닭을 포함한 대부분의
조류
는 단맛을 맛보지 못한다. 펭귄은 감칠맛과 쓴맛도 맛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주)동아사이언스 ... ...
해외여행 주의할 질병, 매년 300명 이상 감염돼 입국...1위 감염병은?
동아닷컴
l
2015.02.16
홍콩 등 인접국가에서 환자 발생 및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조류
등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H7N9), 사우디아리바아는 중동 호흡기증후군(MERS)이 지속적으로 발생 중이다. 때문에 국외여행 시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조류
(생가금류), 낙타 등 동물과의 ... ...
서울서도 AI… 설 대이동 앞두고 방역 비상
동아일보
l
2015.02.09
새들은 AI 면역력이 떨어져 한 번 걸리면 확산 속도가 훨씬 빠르다”며 “이동 제한이나
조류
반입 금지 등 서울시와 방역 당국의 지시를 잘 따르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철호 기자 irontiger@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 ...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
2015.02.04
먹이에서 필요한 유전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류
의 특정 유전자를 형광으로 표지한 뒤 이 유전자가 달팽이의 세포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달팽이와 달팽이 먹이 사이의 게놈을 비교하면 먹이의 유전자 일부가 달팽이에게 옮겨온 흔적이 ... ...
가창오리에 50g 추적기 달아 AI 감염 경로 추적
2015.02.04
GPS)과 SK텔레콤의 상용이동통신망, 국제 데이터로밍시스템을 활용해 부착된
조류
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하고 전송할 수 있다. 오차범위는 10m 내외다. 또 WT-200은 기존 위치추적기에서 사용하던 배터리 대신 태양전지를 사용해 장치 수명은 수년 정도로 더 길어졌지만 동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해 ... ...
개에서 AI 바이러스 검출, 폐사한 오리 먹었다가 코로 들어갔을것으로 추정
동아닷컴
l
2015.02.03
검출, 폐사한 오리 먹었다가 코로 들어갔을것으로 추정 ‘개에서 AI 바이러스 검출’
조류
인플루엔자 AI 바이러스(H5N8)가 개에서 검출됐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개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이다. 2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AI가 발생한 경남 고성군 소재 육용오리 농가에서 ... ...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01.14
4년 간
조류
48종의 게놈을 분석해
조류
진화계통도를 작성한 이 컨소시엄을 통해
조류
가 공룡 멸종 이후 다양한 종으로 분화하는 ‘빅뱅 진화’를 겪었다는 학설이 확인됐다. 그리핀 교수팀은 잉꼬와 금화조에서 다른 새보다 게놈이 빠르게 변했다는 결과도 알아냈다. 이는 명금류(songbird)와 그 ... ...
조류
계의 외로운 ‘아수라 백작’
2014.12.31
브리앙 피어 미국 웨스턴일리노이대 교수팀은 이 새를 40일 넘게 관찰할 결과를 ‘윌슨
조류
학저널’ 최근호에 공개했다. 이 새는 분류상 ‘홍관조(Cardinalis cardinalis)’의 일종이다. 홍관조는 미국 메이저리그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마스코트로 잘 알려진 새다. 연구진은 이 새가 다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피드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993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에 자리를 잡은 두프는
조류
생물학실험실을 운영하며 정신과 임상의 생활을 병행했다. 두프는 새가 노래를 배울 때 일어나는 뉴런의 발화패턴을 연구했고 그 결과를 사람의 뇌에 적용하는 시도를 했다. 예를 들어 새의 지저귐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