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
추세
새짐승
흐름
날짐승
형편
경향
뉴스
"
조류
"(으)로 총 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690종의 생물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 전체 양서류의 41%와 포유류의 26%,
조류
의 13%가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고 설명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물이 500만 종이라고 가정했을 때 멸종 속도가 빠르게(연간 0.72%) 진행 될 경우 2020년이면 75% 이상의 동물이 멸종할 것이라고 한다. ... ...
A형 독감예방 주사 한 대 맞았을 뿐인데…
2014.12.09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참가자의 혈액 샘플 중 77%에는 H3H2 외에도 H5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
인플루엔자와 인간 인플루엔자인 H7 아형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항체가 든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인플루엔자 아형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항체를 가진 참가자도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
유럽 고병원성 AI ‘한국 전파설’ 제기
2014.11.19
호흡기가 유사한 족제비를 H5N8이 감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면서도 “
조류
호흡기에 훨씬 더 큰 친화력을 보이며, 족제비에게서 큰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송대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유럽이 우리나라와 달리 밀접 사육을 하지 않고 방역 능력도 더 우수한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오염수를 저비용, 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미세
조류
와 미생물을 이용해 오염수 및 오염토양 등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생물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리소스 ... ...
대한민국 여성 세종기지 월동연구원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21
느꼈던 감정 그대로 미세
조류
에 매료되어 있다고 한다. 그녀는 앞으로 남극의 미세
조류
를 쉽고 명확하게 소개하는 도감을 만드는 것이 꿈이다. “‘여자이기 때문에다르다’라는 인식이 아직도 사회에 많은 것 같아요. 생물학적인 다름에는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지만, 그 단점을 보완하기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비밀 (박진석, 장성래 著, 자연과사람 刊) 초등학교 때부터 새를 관찰해 온 고등학생
조류
전문가 박진석 군과 생태사진 전문가인 장성래 작가가 함께 작업한 ‘팔색조 육아기’가 나왔다. 천연기념물 204호이자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팔색조는 발견하기 쉽지 않은 새다. 저자들은 남해지역 ... ...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를 사용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8.28
나선다. 나 박사는 바이오에너지의 원리 및 문제점을 설명하고, 대안으로 각광받는 미세
조류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각 분야의 협력 연구 동향을 소개할 예정이다. 본 강연에 앞서 ‘스포이드 잠수함’을 주제로 권순신 충남고등학교 교사가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 ...
‘질병 주식회사’에서 인류 멸망 바이러스 제조?
2014.08.24
바이러스의 등장이 더 잦아지는 특징을 반영한 결과다. 2009년 전 세계로 퍼진 신종플루는
조류
인플루엔자와 돼지인플루엔자가 뒤섞이면서 탄생했다. 그러나 이 같은 ‘미지의 병원체 출현’에 세계 보건당국도 단순히 지켜보고만 있을 리는 없다. 마치 현실에서처럼 제3세계에서만 병원체가 창궐 ... ...
바이러스 감염 공포, 벗어날 방법은 이것 뿐!
2014.08.22
2011년 말 시작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2013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과 일명 ‘살인진드기 바이러스’로 불리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그리고 올해 에볼라 바이러스까지. 세계가 바이러스의 공포에 떨고 있다. 이들은 모두 확실한 예방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 정봉현 ... ...
육지에 비 내려야 적조 줄어들어
과학동아
l
2014.07.22
적조 생물이 감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바닷물에 영양이 풍부하면 무해한 규
조류
가 하루에 2~4회 분열하면서 빠르게 번식하는 탓에 코클로디늄의 개체수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양식업에 피해를 주는 코클로디늄은 경쟁자가 없는 먼 바다에서 번성해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